Product

산업용 저항기



.    산업용 저항기  .(industrial Resistor)                                  


선진하이텍은 우리나라 산업용 저항기의 원조 기업입니다. 저항기에 대한 설계, 제조, 생산 기술력은 국내 동종업계 최고수준을 자랑합니다.  

또한 모든  제품을 자체기술력으로 직접 설계, 제작,시공하는 EPC 업체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체제를 구축하고 급속한 산업변화에 따른 적재적소의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  산업용 저항기 저항 소자(Cell) 종류   



 

 V-W grid type (VW)

(10~50Ω 영역)

 Edge Wound type (EW)

(50~100Ω 영역)

 Heli-Wire type (HW)

(50~300Ω 영역)


 

 SUS grid type (SG)

(10Ω 이하 저저항 영역)

 Wire Wound type (WW)

(for fine resistance)

 SUS tube type (ST)

(For hi-voltage, hi-power)





  ◑  시스템 공급 절차 (Ex. Load Bank)   



   ◎  공급 프로세스   





     단계별 산출물   

Step

Process

  Activity

 Output

  Remark

1단계

 고객요구사항 접수

  기본 요구사항 접수, 검토

  제작 및 공급조건 확인

  RFQ data

 

2단계

 기본 사양 설계

  기본 구성 및 사양 설계 

  커스터마이징 요건 설계 반영

  Draft TDS/TS

3단계

 스템 구성 및 운전,

 제어 방안 설계

  시스템 운전제어 방안 정립

  운전제어 및 조작반 GA 설계

  운전제어반 기본설계

  소요자재(BOM) 산출

  Draft Op’ plan

  Draft Op’ panel GA

  Draft control logic

  Draft BOM

4단계

 견적 및 제안서 제출

  기본설계 (BD drawing)

  기술사양 정립

  제작, 공급 조건 정립

  구매, 제조원가 분석

  견적서, 제안서 제출

  견적서(Offer Sheet)

  제안서(Proposal Doc.)

  기본설계도(BDD)

  기술사양서(TDS/TS)

 

 

5단계

 발주서 검토 및 

 공급계약

  계약서(발주서) 접수, 검토

  공급조건 확정

  (FOB/CIF/CFR/DAP/DDP)

  공급계약 서명(counter sign)

  Deviation sheet(필요시)

  계약서(발주서)

  BD drawing

  TS/TDS

  BOM

6단계

 승인도서 제출

  상세설계

  기술사양(TS) 정립 

  승인도서 제출

  승인도면(Approval drawing)

  기술데이터(Technical Data Sheet)

  기술사양서(Technical Spec.)

 

7단계

 설계도서 승인

  승인도서 코멘트 반영

  수정도서 재승인 제출

  (DCN 사항은 별도 제출

  수정도면

  수정 사양서

  설계변경(DCN) 자료)

 

8단계

 재구매 및 제조 생산

  자재구매 발주

  제조 생산

  소요자재 List up

  본자재 / 공통자재 / 액세서리

  자작, 외주(OEM) 제작

  자체 시험 PAT

  자재구매 분리발주 (본자재, 공통자재, 액세서리)

  제조/가공 소조립 (공정검사)

  중조립/대조립 (단위기능시험)

  iTP 제출/승인,  Factory/Shop test report

9단계

 시험 및 검사

  ITP 제출

  고객 입회 시험, 검사

  공인기관 인증시험(필요시)

  추가 ITP check 

  Routine Test Report

  FAT, FAC

  Type Test Report (필요시) 

  고객입회, 요구사항 시험,  Test Report 발행

  공인기관 인증시험(필요시)

  기능/성능 시험, 환경/내구성 시험)

  인증서 발행

10단계

 포장 및 출고납품

  출고 검사

  수출포장 (필요시)

  출고 납품 

  (국내, 해외 : 수출입 절차)

  Products

  Final doc.(Drawing,TS, manual..)

  Packing List

  Bill of Lading

  Certificate of Origin

  Commercial invoice

  출고검사 시트 (계측, 계량 포장, 출고)

  포장 : 국내(간이포장), 해외(수출포장)

  운송, 납품 (FOB, CIF, CFR, DAP, DDP)

  육상/해상/항공 운송

  관련 서류 발행 (PL, BL, COO, CI.)

  납품, 수취확인서







산업용 부하저항기(Load Bank Resistor)는 전기설비나 발전기, UPS 등의 성능시험을 위해 인위적인 부하(전력소비)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전력을 열로 소비함으로써 실제 부하처럼 작동하며 설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 시운전 시에 사용된다.  특히 공장, 병원, 데이터센터 등 비상 전원이 필수적인 장소에서 전원시스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설비이다.  저항소자는 주로 고전력, 고온 환경에 견딜 수 있는 니크롬이나 철크롬을 와이나 편형으로 만들어 제작한다.




 

                        

 옥외용 부하저항기

 옥내용 부하저항기





  ◑  제품 특징   



√  용량별, 그룹별로 다단계 TAP을 인출하여 자유로운 용량선택 가능
√  모든 제품은 고객요구조건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설계기반으로 제조생산 됨
√  부하특성이 우수한 저항을 사용하여 장시간 연속적 운전에도 안정적 성능 발휘
√  PLC 등 외부 상위 제어기를 통해 원격제어 가능(옵션)
√  다양한 종류의 부하에도 안정된 성능특성 발휘
√  수동 및 자동운전제어 기능 부여(옵션)




  ◑  기본 회로 구성   









  ◑  외함 구조   








  ◑  하저항기 선정   










중성점 접지저항기(NGR)는 변압기나 발전기의 중성점(Neutral Point)을 접지할 때 사용하는 저항기이다.  3상전력계통에 지락사고 발생시 흐르는 고장전류를 소정값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전기설비의 손상과 화재 위험을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NGR은 주로 고압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보호 계전기와 연동되어 감지 및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보통 고열에 강한 금속 와이어를 소재로 권선형으로 제작하며,  대용량 저저항의 경우에는 SUS 판재를 재단하여 그리드 형태로 제작 한다. 외함은 설치조건에 따라 옥내용, 옥외용 및 방수·방진 구조로 설계 제작된다.









  ◑  NGR 외관 구성   



        

        

 옥외용 NGR

 옥내용 NGR





  ◑  NGR 설치 효과   



√  一線 지락사고시 이상전압 발생으로 인한 기기 및 선로의 절연파괴 방지 (전선로 및 연관 기기의 절연 레벨 경감)

  일시적 이상 과전압 저지로 연계사고 방지

  위험할 수 있는 고장전류의 크기를 제한

  연관 시스템(GEN, TR, Motor,)과 인력에 대한 안전보장

  지락사고 시 아크 노출을 경감하고 경보 발생

  선택적 지락 감지 트리핑 레벨 제공

  CT 및 지락보호계전기(OCGR)를 사용하여 사고 회로 검출 및 고장전류 측정 가능

  지락고장 발생시 통신선로의 유도장애 억제 기능

  발전기 지락사고시 부하의 급변동 방지




  ◑  NGR 구성 방식   



 비접지 방식

 직접접지 방식

 저항 접지 방식

 리엑터 접지 방식


 

 

  Zn = 


  접지선이 없는 방식

  일반배전(~3.3kV, 6.6kV) 계통에 적용

  변압기와 대지간 고임피던스 유지

  지락전류가 작아 순간지락 시에도 송전 가능

  통신선 유도장애가 적음

  지락계전기 오동작이 잦음.

  Δ결선로에서 1선 고장시 V결건으로 운용 가능


  Zn = 0

 

  도선으로 직접 접지

  초고압(>15kV) 계통에 적용

  건전상 전압상승이 거의 없음

  보호계전기 작동이 확실함

  연관기기 절연 레벨 경감

  통신선 유도장애가 큼

  지락사고 시 고장전류 매우 큼


  Zn = R

 

  고저항: >100~1000Ω(5~100A)

  저저항:  <30Ω (>200A)

  고장전류를 소정 값 이하로 제한.

  저항값은 1선지락시 건전상의

  대지전압이 평시의 1.3배를 넘지

  않도록 선정 함.  저항이 너무 크면 

  계전기 작동이 어려워지고 

  건전상의 대지 전압 상승을 초래함.

  Zn =  jXL

 

  중거리 송전선로(66kV)에 적용

  초기 고장전류 소호 기능.

  선로대지 정전용량과 병렬공진할 

  수 있는  L값으로 적용함.

  지락사고 시에도 계속 송전 가능.

  통신선 유도장애가 적음. 안정도 

  우수하나 고장시 이상전압 최대

  보호계전기 작동신뢰성이 떨어짐.





  ◑  변압기 결선에 따른 NGR 구성 방식   



 변압기 2차측이 Y-결선인 경우

 수전 변압기의 2차측이 Δ-결선인 경우

 2차측 중성점에 직접 NGR 설치, 

필요에 따라  CT, DS, 계전기(51N) 등을 

설치하여 안전보호 및 운용성을 높임.

 2차측에 접지전용의 접지변압기(GTR)를 사용하여 그 중성점에 NGR연결.

 GTR은 지락사고 등 고장 시에만 작동되므로 통상 단시간 정격으로 설계함

 변압기 2차측 중성점 접지방식

 2차 개방식, Δ 변압기 접지방식

 Zig-Zag TR 중성점 접지방식

 발전기 중성점 접지방식


 


 






  ◑  NGR 보호 회로 구성   



일반적으로 1선 지락시 지락전류는 5~100(고저항),  200-300A(저저항정도로 제한되도록 NGR 값을 설정한다. 지락전류는 지락 과전류계전기 51N으로 검출하고,

NGR의 정격시간 이하의 시한에서 경보표시 및 전원측의 차단기를 Trip시켜 NGR 을 보호한다.







 < NGR 보호회로 구성 >





  ◑  NGR 구성방식 (적용 사례)   












  ◑  NGR 기본구조    








  ◑  NGR 제품사양 선정    



   ◎  NGR 사양 선정시 고려사항   



√  주변압기 정격 선간전압(VL또는 상전압(Vs)

√   연속 사용시간 및 최대 전류 기준

√   단시간 정격 체크 : 일반적으로 10, 30초 또는 60초 적용

√  연속정격 체크 : 일반적으로 전부하 전류의 5% ~ 10%에서 적용

√   냉각상태에서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

√   선간전압을 기준으로 지정된 절연 등급

√   저항체의 최대 단시간 온도상승은 IEEE 표준 32-1972(중성점접지저항에 대한 요구 사항)에 따라 760°임을 참조

√   실외 또는 실내 외함에 대한 보호 IP 등급 체크 : 표준 외함은 IP10, IP13 또는 IP23 적용

√   외함 재질은 연강분말 코팅 마감 또는 용융 아연도금스테인리스강들 사용 가능

√   보조 품목 CT, VT, DS, GTR 또는 기타 옵션 적용 여부



   ◎  NGR 사양선정 기준   






   Calculation of NGR resistance : Rg = (Line V ÷ √3) ÷ Rated Current


Ex.> When Line VL : 6600V,  Rate current IR : 100A

Then NGR resistance Rwill be calculated as bellow ;

Rg = (6600/3)/100 = 38.1 Ω




   ◎  NGR 사용시간 정격   



  저항소자의 표면온도가 정격허용온도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전선로의 지락검출 차단장치 보다는 다소 길게 설정하는 것이 계통기기에 안정적이다.

  단시간 정격은 일반적으로 중성점에 흐르는 지락전류를 10sec, 30sec, 60sec, <10min으로 사용하고

  지속시간 정격으로는 평균 >10min으로 설정해 사용한다.




   ◎  NGR 온도상승 한도   



 정격 사용시간

온도상승 한도

표 준 규 격

   

단시간 정격 (<10)

760°C

IEEE 32(1972)

 

단시간 정격 (<10)

750°C

KISC

국 내  기 준

지연시간 정격 (평균10)

610°C

IEEE 32(1972)

 

지연시간 정격 (평균10)

450°C

KISC

국 내  기 준

연속시간 정격

385°C

IEEE 32(1972)

 

연속시간 정격

350°C

KISC

 국 내  기 준





   ◎  NGR 전압별 정격전류 및 외관 규격   



 정격전압

(kV)

 정격전류

(A)

 정격사용시간

(sec)

 온도상승한도

()

 width

(mm)

 Depth

(mm)

 Height

(mm)

 3.3 /3

 100

 10 / 30

 350 / 750

 600

 445

 630

 200

 10 / 30

 350 / 750

 600

 445

 630

 400

 10 / 30

 350 / 750

 600

 625

 870

 6.6 /3

 100

 10 / 30

 350 / 750

 600

 535

 630

 200

 10 / 30

 350 / 750

 600

 625

 950

  400

 10 / 30

 350 / 750

 600

 715

 1190

 11.6 /3

 100

 10 / 30

 350 / 750

 705

 800

 1200

 200

 10 / 30

 350 / 750

 705

 900

 1200

  400

 10 / 30

 350 / 750

 705

 900

 1560

 22.9 /3

 100

 10 / 30

 350 / 750

 705

 1020

 1560

 200

 10 / 30

 350 / 750

 705

 900

 1920

  400

 10 / 30

 350 / 750

 705

 1400

 1920





   ◎  접지변압기(GTR) 용량 산출 (사례)   

      ( According to Westinghouse Data )


1)  3phase Equivalent Power Capacity, 등가전력 (kVA)


Pa = V / √3 * Ig * Kf



V : Line Voltage,  선로전압 (kV)

I: Earthing Current,  접지전류 (A)

K : Factor,  지락전류에 대한 중성점 연속 전류비 (%)

     (NPCCR - Neutral Point Continuous Current Ratio to ground fault current, %)


2)  K Factor


Duration

(time rate)

Ratio of neutral point continuous current to ground fault current (%)

 0~5%

10% 

15% 

20% 

25% 

 < 10 sec

 0.11

0.11 

0.157 

0.206 

0.264 

 ~  1 min

 0.112

0.141 

0.18 

0.223 

0.269 

~  10 min

 0.206

0.233 

0.26 

0.283 

0.32 

 > 10 min

 0.602

0.608 

0.619 

0.633 

0.65 



3)  Calculation of GTR Power Capacity (Example)


☞.  Condition of NGR Specification (산출조건)


Rate Voltage (정격전압)  V :  6.6 / √3 kVA

Earthing Current (접지전류)  Ig  : 100 A

Resistance (정격저항)  R :  38.1 Ω

Duration (시간정격)  :  30 sec ( < 1 min )

K Factor : 0.269 at 30 sec, and 25% of NPCC ratio (가혹조건)



☞.  Calculation of GTR Capacity (용량계산)


Equivalent Capacity Pa (kVA) 

V / √3 * Ig * Kf

= 6.6 / 1.732 * 100 *0.269

= 102.5 kVA


    Required a 100 kVA GTR




  ◑  NGR 시험 평가   

 

No

시 험 분 류

 세 부  시 험  항 목

조건 / 판정기준

 1

    정기점검 시험

    외함과 저항기 사이의 절연저항 측정

    저항체 DC 저항 측정

    저항 블록의 절연 테스트

    아연도금 또는 페인트의 두께 측정

 

 2

    내구성 시험

    온도상승 시험

    보호등급 임펄스 및 내전압 시험(1.2 / 50 µs)

 

 3

    특별시험 (필요 시)

    저항체 AC 저항 측정

    내 지진 테스트

    절연저항 시험(메거)

 

 4

    선택적 세부 정보 

    시스템 전압 (kV)

    라인-중성선 전압 (kV)

    소요 정격 전류 (A)

    소요 저항값 ()

    최대 ON 시간(및 듀티 사이클

    부싱 입구 또는 케이블 입구 사양

    변류기 정격 (필요한 경우)

    단로기 스위치 (필요한 경우형식

    특별 옵션 (필요한 경우)

 







고저항접지장치는 접지계통의 순시과전압 보호를 유지하면서 돌발적인 정전발화 등에 의한 손실과 인명피해 등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존의 비접지 방식과 직접접지 방식의 단점을 보완 한 것으로써지락전류를 수 mA ~ 수십 mA로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 계속 운전케 하여 지락사고에 의한 정전 등으로 인한 피해 및 혼란을 방지하는데 있다.  지락사고가 발생하면 경보음 등으로 추락사고 발생 사실을 알려주면서 지락전류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 지락 지점을 찾아 수리를 할 수 있다HRG는 화재 및 아크 사고 예방에 효과적이며, 산업 플랜트, 데이터센터, 군사 시설 등 정전이 치명적인 곳에 주로 사용되며,  절연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반드시 보호 계전기와 함께 구성다.


   

                                         < HRG 고저항 접지장치 외관 구성 >




  ◑  HRG 설치효과   

고저항접지장치는 중성점접지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지락사고 시 고장전류를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경보를 통하여 지락사고를 알려주는 스템 이다
지락사고 시에 main 차단기를 trip시키지 않고 소손 된 기기측 만 trip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에 대한 정전을 피할 수 있는 장치로정전 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다.


*  누전발생 시 사전에 감지할 수 있어 예방정비가 가능하다.

*  완전 지락 발생시에도 시스템 전체의 정전을 피할 수 있고, 전류검출기를 통해 정확한 고장지점을 찾을 수 있다.

*  Arc 가 발생하는 지락시에도 일시적인 과전압을 억제할 수 있다.

*  단선지락사고 발생시에도 시스템을 계속 운용할 수 있다.

*  지락 전류를 PULSING하여 정확한 사고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  설치 조건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  HRG 기본 접지 방법   



고저항을 이용한 Y-결선회로 접지방법

Zig-Zag TR을 이용한 Δ-결선회로 접지방법

GTR을 이용한 Δ-결선회로 접지방법

   주변압기 2차측 중성점과 대지간에 고저항HRG를 

   설치하여 접지.



   주변압기 2차측이 중성점이 없는 Δ결선인경우

   접지용 Zig-Zag TR을 넣어 그 중성점과 대지간에 HRG를 

   설치하여 접지


   주변압기 2차측이 중성점이 없는 Δ결선인경우

   2차 측이 개방된 Δ결선인 접지용 GTR을 설치하고 

   그 GTR 1차측의 중성점은 대지로 직접 접지하고

   개방된 2차측 단자간에는 HRG를 설치하여 접지

 

 

 




  ◑  HRG 기본회로 구성 사례    






                             <  로컬 Test 기능을 탑재한 HRG 구성도  >






                                         <  원격 감시제어 기능을 탑재한 HRG 구성도  >




  ◑  HRG 사양 선정   



  1)  NGR HRG의 차이점 ?  


        ①  중성점 접지저항기를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


     1선 지락고장 시 변압기 중성점으로 흐르는 지락전류를 제한하여 변압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데 있다.


        ②  NGR HRG의 차이점은 ?

 

      지락고장 시 주차단기(CB)를 내려 정전시켜서 고장전류를 차단해도 되는 경우 저저항의 NGR로 대응하고,  지락고장 시 주차단기를  내리지 않고 

      계속 운용을 해야 하는 경우 고저항의 HRG로 대응한다.


      ◈  저저항 접지 NGR (단시간 정격으로 사용 : 10~30)

           지락발생  계전기 작동 → CB 작동(부하차단)


      ◈  고저항 접지 HRG (연속 정격으로 사용 : 10분 이상

   지락발생 → 계전기 작동  경보 발생 (Pulsing으로 지락지점을 추적할 수 있음)

   연속정격 시 저항 값은 크고 전류 값을 작게 하는 이유는 부담 용량(kW)을 작게 하기 위함이다.



  2)  HRG 용량 계산Example   


460V 변압기 기준으로 HRG 저항기 용량을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  100A 적용시 저항 값 : R100 = (460V ÷ √3) ÷ 100A


        =  266V ÷ 100A

        =  2.66 Ω


 100A로 연속사용시 용량 : P100 = 100A x 100A x 2.66Ω


        =  26,600 W

              

 여기서  저항 26.6kW 제법  용량으로서 발열과 냉각을 동시에 고려하여 적용해야 한다.


 ☞.  1A 적용시 저항 값 : R1 = (460V ÷ √3) ÷ 1A


        =  266V ÷ 1A

        =  266 Ω


 1A로 연속사용시 용량 :  P1 = 1A x 1A x 266Ω

        = 266 W


 여기서 저항 266W 판넬내 사용되는 스페이스 히터 용량 정도라서 연속 사용도 가능하며,  HRG 일반적으로 1A 이하를 적용한다.




  3)  HRG 사양 선정  









크레인 저항기(Crane Resistor)는 크레인에 사용되는 권선형 유도 전동기 2차측에 연결하여 크레인 구동 시 모터의 기동전류 제한 및 속도 제어, 제동 등을 위해 

사용한다.  주로 권선형 유도전동기 또는 직류전동기에 사용되며, 운전 중 부하조건에 따라 전류를 조절하거나 회생 전력을 소비하는 기능을 한다. 크레인 저항기는 

용도와 제어방식에 따라 적용되는 크레인 모터의 속도와 토크 값이 크게 달라진다.




Indoor type 크레인 저항기

 Outdoor type 크레인 저항기




  ◑  CCR 제품사양 선정  



  1) CCR 제품사양 선정   





  2) CCR 프레임 사이즈 선정   





  3) 옥용 CCR  프레임 사이즈 선정   





  4) 크레인 제어방식 별 토오크 제어 범위   



 Purpose

 Control method

 Control Torque

 Maneuver Torque

Hoist

2nd'ry Resistance control

3, 4, 5

100 % 

S (S.C Brake control)

4, 5, 6

 Winding down  50 %

 Winding up 135 % 

E (E.C Brake control)

4, 5, 6

  Winding down  35 %

  Winding up  135 %

D (Dynamic W)

3, 4, 5

  Winding down  50 %

  Winding up 120 %

T (Thyristor control)

3, 4, 5

  Winding down  40 %

  Winding up  200 %

C (direct control)

5, 6, 7

100 %

 Travelling  

Traversing

2nd'ry Resistance control

3, 4, 5

50 %

P (Plugging control)

4, 5, 6

Stopping  40 %

T (Thyristor control)

3, 4, 5

 Winding up  50 %

 100 %

C (direct control)

5, 6, 7

 50 %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동기의 2차측 슬립링을 통해 저항기를 접속하고, 저항치를 줄임으로써 시동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기동할 수 있다. 외함 구조는 저항기 및 전자접촉기를 구성하는 PANEL 과 별도 또는 일체형으로 조립 구성할 수 있다.




 


 모터기동용 저항기 (Vertical cooling type)

 모터기동용 저항기 (side cooling type)




  ◑  STR 유형별 특징  



1) 금속형 MC-type 기동저항기   

저항기의 구간 단락을 전자접촉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쉬워 경제적임


2) 금속형 CAM-type 기동저항기   

저항기의 구간 단락을 기계식 CAM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수동으로 기동 및 정지 가능


3) 액체형 기동저항기   


 √  전극이 전해액 내부에 삽입되어 동작함으로써 SPARK 발생이 없음

 √  저항이 무단으로 가변 되므로 전동기를 부드럽게 기동/정지시킬 수 있음

 √  속도제어용은 발생열량이 많아 냉각장치가 필요






  ◑  STR 기본 회로도  





< 모터기동용 저항기 기본회로 구성도 >







모터제어를 위해 인버터를 사용하는 경우 운전 중 감속 혹은 정지시 모터의 회전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관성에너지가 인버터에 흡입이 되는데, 이렇게 되면 

인버터의 DC뱅크 전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력용 콘덴서나 반도체 소자가 소손 될 수 있다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인버터용 제동저항기는 인버터에 

회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진 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옥외용 DBR 외관

 옥내용 DBR 외관




  ◑  DBR 동적 특성  



DBR은 모터의 회생에너지를 소진시키는 과정에서 모터의 회전수를 급격히 떨어뜨리는 브레이크 기능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는 모터의 정지 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게 되며, 그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동적 특성을 보이게 된다.





                 < DBR 동적 특성 곡선 >





  ◑  DBR 제품특징  



당사에서 공급하는DBR 제품들은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조건들을 반영한 커스터마이징 설계를 기반으로 제조 생산을 한다.



√  다종 다양한 모델 시리즈 구축으로 기본 모델에 대한 선택 폭이 넓음

√  설계 및 제조공정 표준화로 최단 납기 보장

√  소형경량화 실현으로 패널내 탑재 용이

√  과부하 내용량이 크고 가성비가 우수 함

√  고객 요구조건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설계 기반 제조생산

√  특수 용도의 신재품 개발 서비스 수행







  ◑  DBR 기본 회로 / 장치 구성  





      < DBR 적용 개소 >





< DBR을 이용한 모터 부하 제어시스템 구성 >





  ◑  DBR 사양 및 규격 선정  


DBR 사양은 대상 모터의 용량과 사용 조건에 따라 결정되기 땜문에 세부 규격과 사양은 커스터마이징 설계단계에서 협의하여 결정하게 된다.




  1)  DBR 사양 선정   




  2)  DBR 외함 형식 및 규격 선정   




< Dimension of outdoor type DBR >
       

                                                   








< Dimension of indoor type DBR >











특정지역에서 전력변환장치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그에 따른 전압파형 왜곡 및 고조파전류가 많이 생성되어 각종 기기의 온도상승 및 관련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각종 기기의 오동작,  또는 정보통신장애 등의 원인이 된다.  고조파 필터 저항기는 이러한 부정적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장치로 RLC 각 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옥내용 R-C 뱅크 장치

 옥내용 R-C 뱅크 장치

  옥외용 R-C 뱅크 장치






  ◐  HFR 제품특징  

 


고조파 필터용 저항기는 필터링 성능을 고려하여 고압 무유도성 저항체로 만들어 진다.



 

  ◐  HFR 기본회로 구성  



 

 

고주파 필터 (High pass filter)

저주파 필터 (Low pass filter)







 




코일저항기는 리본 와이어선으로 권선하여 부하인가 시 열방출 효과가 탁월하여 대전력용 부하저항기, 제동저항기, 용접기 부하, 인버터 부하 등에 

주 저항으로 적합하다.


 

 


권선형 저항기 회로구성

권선형 저항기 셀





  ◐  EWR  제품특징  

 

절연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과 저항 특성이 정밀하고 안정된 코일저항체로 구성된다.




  ◐  EWR 모델별 용량 및 저항특성  

 





 


**********************************************************************************************************************************************

()선진하이텍 / Seonjinhitech Co., Ltd.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발안공단로 413 / 대표 : 백용호

18623,  13 Balangongdan-ro 4-gil, Hyangnam-eup, Hwaseong-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Tel : +82-31-8059-1387 / Fax: +82-31-8059-1397

E-Mail : sjhtech@seonjinhitech.co.kr

Website : http://seonjinhitech.co.kr




선진하이텍 Seonjin Hitech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발안공단로 4길13 | 대표 : 백용호
Tel : +82-31-8059-1387 | Fax : +82-31-8059-1397 | E-Mail : sjhtech@naver.com, sjhtech@seonjinhitech.co.k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