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전력품질개선설비


     전력품질개선설비    (Power Quality Improvement System)                  









전력계통에 비선형 불균일부하가 많이 인가되면 여러 형태의 이상전압과 고조파 전류가 발생되고이로 인해 역률이 저하되고 전압 파형이 왜곡되는 등 계통의 전력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는 관련 설비들에 대해 출력저하오작동과열진동 등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러한 피해 현상을 규정치 이하로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설비를 전력품질 개선설비라 한다.




  ◑  이상전압 및 고조파 발생원인  



고조파는 정류기전력제어장비아크로용접기 등의 비선형 부하에 의해 발생되며이러한 비선형 부하를 전력회로에서는 고조파 발생원으로 해석하며주요 발생원인은 다음과 같다.


√  컨버터인버터 등의 전력변환 장치 쵸핑 전류

√  변압기전동기 등의 인덕터에 대한 여자전류

√  전기로아아크로 등의 과도 전류

√  송전선로의 코로나 전류

√  전기 용접기 부하전류




  ◑  고조파 특성 및 문제점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는 아래와 같이 여러 차수의 기수 고조파들이 합성되어 나타난다.








     < 차수별 고조파 파형 구조 > 





고조파 전류는 전력회로의 임피던스 크기에 에 따라 배분되어 흐르게 되며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폐해를 일으킨다.


√  인접 전기전자 부품 장비의 오작동

√  상위 변압기 및 중성선 과부하 과열

√  역률보상 커패시터 오작동

√  발전 및 송배전 손실 유발

√  보호 제어 및 통신네트워크 교란중단 초래

√  배전반케이블모터 등의 과열 손실에 따른 부가 손실 유발

√  전기시스템의 전기적기계적 스트레스 가중

√  유관 장비 오작동 및 조기 고장으로 가동 중지 시 막대한 운영 손실 및 교체비용 발생

√  전력계통설비를 포함 한 각종 부하 설비의 수명 단축 초래

√  전력기기 절연의 조기 열화 





   

   < 고조파 전류 발생 및 부하 회로에 대한 영향  > 







  ◑  전력품질 개선 설비 종류  




전력계통이나 산업현장에서 흔히 적용되고 있는 전력품질개선 설비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o.

 개선 영역

 장  치  명

 주  요  기  능

1

  고조파(THD) 억제

   수동형 고조파 필터 (PHF)

   Passive Harmonic Filter

   특정 고조파만 제거하도록 설계된 LC 필터, 

   구조가 단순하고 저렴하지만유연성이 떨어짐

2

   과도 이상전압 억제 필터 (TVSF)

   큰 임피던스 부하의 기동/정지시 이상전압 억제

3

   정현파 필터 (SWF)

   전력전자창치 출력 구형파 전압을 정 사인파로 변환

4

   HG-Matrix 저역 필터 (M-LPF)

   저역대 역고조파를 생성중첩시켜 고조파 제거

5

   능동형 고조파 필터 (APF)

   Active Power Filter

   다양한 고조파를 실시간으로 분석 후 상쇄 전류 주입

   비선형 부하가 많은 곳에 적합하며 정밀도가 높음

6

  무효전력 보상

   무효전력 보상기 (SVC)

   Static Var Compensator

   R-L-C, Thyristor 기반 정전압 유지 및 플리커 억제 기능

   대규모 산업현장용접기 등의 플리커원 제거에 적합

7

   무효전력 발전기 (SVG)

   Static Var Generator

   고속 IGBT 기반역전류 투입무효전력을 보상하여 

   SVC보다 더 빠르고 정밀한 정전압 정주파수 유지

8

   콘덴서 뱅크 (C-Bank),

   Capacitor Bank

   진상(Lead) 무효전류 보상을 통한 역률 개선

   간단하고 저비용이나 정밀 제어는 어려움

9

   리엑터 뱅크 (L-Bank),

   Reactor Bank

   지상(Lag) 무효전류 보상을 통한 역률 개선

   간단하고 저비용이나 정밀 제어는 어려움

10

  전압 변동, 플리커 보상

   자동전압조절기 (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

   전압이 높거나 낮아질 때 자동으로 일정한 전압 유지

   정밀기기나 통신장비 보호에 효과적

11

  단시간 정전 대응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정전 시 즉시 전력을 공급해주는 비상 전원 장치

   서버의료기기 등 민감한 장비 보호

12

  장시간 정전 대응

   ESS

   (Energy Storage System)

   대규모 전력 저장 시스템으로 정전부하변동 대응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연계 시 유용

13

  서지 및 이상 과전압 보호

   SPD 

   (Surge Protection Device)

   낙뢰나 이상전압 유입 시 이를 흡수하여 장비 보호

   분전반통신설비, IT기기 보호에 필수적

14

   절연 변압기 

   (Isolation Transformer)

   노이즈 및 서지 차단접지 문제 개선

   민감한 전자장비에 적합







  ◑  고조파 방지 대책   



전력계통이나 산업설비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고조파 방지 대책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  전력변환 장치의 펄스 수를 크게 한다.

√  고조파 필터 장치를 설치하여 제거한다.

√  전력용 콘덴서에 직렬 리엑터를 설치한다.

√  선로의 코로나 방지를 위해 복도체나 다도체를 사용한다.

√  변압기 결선을 델타 결선으로 하여 고조파를 제거한다.

√  고조파 발생기기와는 충분한 이격거리 확보 및 차폐 케이블을 사용한다.

√  고조파 발생기기와는 접지를 분리시킨다.









고조파를 제거하는 방법 중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는 수동형 고조파 필터라고 할 수 있다수동형 고조파 필터는 물리적으로 고조파 발생 부하와 인접한 위치에서 

고조파 발생 부하와 병렬로 구성한다이렇게 하면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전류를 수동형 고조파 필터로 흡수하고 전력계통으로 유출(비흡수분되는 

고조파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수동형 고조파 필터에는 상당히 큰 용량의 커패시터가 적용되는데통상적으로 발생되는 지상성분(리엑터)의 무효전력에 상응하는 

크기의 용량이 필요하다






  ◑  PHF 외관 구성   



 

PHF 내부구조

PHF 외관 구조






  ◑  고조파 필터 원리   





저역통과 필터는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거나 흐름을 방해하는 필터로 커패시터(C)나 인덕터(L)를 저항기(R)와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저항기(R)와 커패시터(C)로 구성된 저역통과 필터를 저역통과 RC 필터라고 하고저항기(R)와 인덕터(L)가 있는 저역통과 필터를 저역통과 RL 필터라고 한다.








< PHF 저역 통과 필터 거동 > 








    저역통과 RC 필터  




저역통과 RC 필터는 저항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 필터 회로로 저주파 신호는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는 차단한다.  저역통과 RC 필터를 구성하려면 아래 그림과 같이 저항은 입력회로에 직렬로 배치하고 커패시터는 입력회로에 병렬로 배치한다.









        < PHF 저역 통과 RC 필터 구성 > 





위 회로에서 커패시터는 반응성 소자이므로 이를 통해 들어오는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에 대해 서로 다른 저항 특성을 띠게 된다.  커패시터는 저주파 또는 DC 신호에 대해 매우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반응성 소자로서고주파 신호에 대해서는 낮은 저항성을 제공한다위 회로에서 DC 성분은 커패시터에서 차단되고 오른쪽에 있는 화살표 방향의 단자로 흐르게 되며, 고주파 신호는 커패시터는 통과하게 되는데 이는 커패시터가 매우 낮은 저항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  저역통과 RL 필터  




저역통과 RL필터는 저항과 인덕터로 구성되는 필터 회로로저주파 성분은 통과시키고 고주파 성분은 차단한다저역 필터는 아래와 같이 인덕터를 입력회로와 직렬로 배치하고 저항은 입력회로와 병렬로 배치한다.









               < PHF 저역 통과 RL 필터 구성 > 




동작원리는 유도리액턴스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인덕터를 통과하는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유도리엑턴스의 크기가 결정된다그러나 커패시터와 달리 인덕터는 고주파 신호에 매우 높은 저항성을 띠게 되고 저주파 신호에는 매우 낮은 저항성을 갖는다따라서 커패시터 와는 정반대의 특성을 보이는데, RC  RL 필터 회로에서 저항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전환배치 된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위의 RL 회로는 저역통과 필터로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되는데이는 고주파 성분은 유입이 저지되고 저주파 성분은 방해 받지 않고 통과하기 때문이다.





   ◑  수동형 고조파 필터 작동 개념   











              < PHF 고조파 필터 작동 원리 > 








   ◑  수동형 고조파필터 종류   












                    < PHF 고조파 필터 종류 > 







   ◑  수동형 고조파 필터 주요 기능   




수동형 고조파 필터(Passive Harmonic Filter, PHF)는 전력 시스템에서 비선형 부하로 인해 발생하는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원품질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술기준(IEEE-519, 1992) 에 따른 유효한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특정 고조파 주파수에 대한 선택적 억제

     

수동형 고조파 필터는 인덕터(L), 커패시터(C), 저항(R) 등을 조합하여 특정 고조파 주파수에 공진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공진 회로는 해당 주파수의 고조파를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전력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2)  전원품질 개선 및 장비 보호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전압 왜곡, 장비 과열, 통신 장애 등 전원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전력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3)  역률개선 기능 


수동형 고조파 필터는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역률을 개선하는 데, 이는 무효전력을 줄여 전력이용 효율을 높이고 전력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얻는다.


 4)  설계 및 설치의 용이성


수동필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계되어 설치가 용이하며, 별도의 외부전원공급이 필요치 않아 유지보수 비용이 낮은 편이다.


 5)  고정 부하 환경에 적합


부하의 고조파 특성이 일정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며, 고정된 주파수의 고조파를 억제하는 데 적합하다.


 6)  기타 개선 기능 


√  합성고조파에 대한 왜형율 감소 

√  전압불평형 개선 (플리커링 현상 개선)

√  하 불평형 개선



  ◑  수동형 고조파 필터 선정시 고려사항   



수동형 고조파 필터는 고조파 주파수가 자주 변화하는 부하에서는 사용에 제한성이 있다.  이는 설계된 특정 고조파 주파수에만 효과적이기 때문인데, 고조파 주파수 변동이 심한 환경에서는 실시간 추종보상이 어렵기 때문에 성능이 저하 될 수 밖에 없다.

 1)  공진 문제 가능성 :


필터와 전력 시스템 간의 임피던스 차이로 인해 공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고차 고조파 억제의 제한성 :


수동형 필터는 일반적으로 저차 고조파(예: 5차, 7차)에 효과적이나 고차 고조파에 대한 억제 능력은 제한적이다.


  ◑  수동형 고조파 필터 장치 기술 기준   


수동형 고조파 필터(Passive Harmonic Filter, PHF)의 기술기준은 국가별로 상이하며,  한국에서는 전력품질과 관련된 법규 및 표준(한전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이 적용된다. 주요 기술기준을 정리하면 음과 같다.



 1)  한국전력공사(KESCO) 규정


         적용범위 :  전력설비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기준

         기 준 명  :  전력설비기술기준 및 전력설비설계기준

         주요내용 :  / 고조파 필터의 설계용량 및 유형 결정 기준

                           / 필터의 유지보수 및 점검 주기 설정

                           / 설치 위치 및 배선 방식에 대한 지침


 2)  국제 표준 및 권고사항


         IEC 61000-4-30 전력 품질 측정 및 평가 방법

         IEC 61000-4-7 고조파 및 기타 전자기 간섭의 측정 방법

         IEEE 519 고조파 제한 및 전력시스템의 전원 품질 기준






이상전압 억제 필터는 일반 전동기의 기동/정지시 발생하는 과도이상전압을 억제하는 일종의 전압필터 장치이다.  이는 연관 기기나 케이블 등에 인가 될 수 있는 과전류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 TVS 외관 구조 >



   ◑  TVS 주요 기능   


과도 이상전압 억제 필터의 핵심기능은 순시 급변하는 전압변동을 억제하여 시스템을 안정화 시키는 것으로  그 기술적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기술기준 : NEMA MG1 Part 30 일반 전동기의 ASD 구동 지원 (Part 31)

√  핵심기능 : 급격한 dv/dt에 의해 발생하는 순시 과전압 변동을 억제

√  기술적 효과 : 시스템의 진동, 소음 및 발열 감소로 전동기급전 케이블 등 연관 기기의 수명 연장

√  상시 부하 운전 전류 저감 효과



   ◑  TVS 기본 회로 구성   






< TVS 기본회로 구성 >










인버터는 AC 전압을 DC로 바꾼 뒤 다시 AC로 만들어 모터를 구동을 하는데 이때 만들어지는 AC 전압은 우리가 전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부드러운 형태의 정현파(Sine Wave)가 아니라, 계단처럼 생긴 PWM 파형인데 이는 모터 구동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파형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  모터 과열

√  진동 및 소음 증가

√  절연 파괴

√  베어링 수명 단축

√  EMI(전자파 장애) 증가





  < SWF 필터 외관 구조 >




   ◑  제품 특징   


√  기술기준 : NEMA 

√  MG1 Part 30 일반 전동기의 ASD 구동 지원 (Part 31)

√  급격한 dv/dt 과도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순시 과전압에 의한 부작용 최소화

√  잡음진동 및 발열 감소로 전동기케이블 등 연관 기기에 대한 보호

√  상시 운전전류 저감


   ◑  기본회로 구성   


  1)  3 phase, dV/dt  sine wave filter 



< 3상 SWF 기본회로 구성 >




  2)  Square wave to Sine wave Filter  


아래는 저역통과 3단 RC 직렬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PWM이나 스퀘어파 신호에서 고조파를 제거하고 기본파만 통과시켜 깔끔한 정현파를 만드는  회로이다. 각 단계가 고조파 성분을 점진적으로 억제하여 최종적으로 기본파만 남게 되므로 퀄리티 높은 정현파를 얻을 수 있다. 





< 단상 구형파 / 정현파 변환 회로 구성 >








HG-Matrix 저역통과 필터장치는 부하전류의 종합 왜형율을 최대 5%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이는 하위단으로부터 발생된 고조파를 검출하여 역위상동진폭의 역전류를 능동적으로 생성주입함으로써 계통의 안정도 및 전력품질을 개선하게 된다.






    < HG-M 저역 필터 외관 구조 >


   ◑  주요 기능   


역고조파를 생성해 계통의 고조파를 상쇄하는 HG-Matrix 필터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기술기준 : IEEE-519 1992

√  과전류차단기 오동작 방지

√  구동장치의 가동시간 획기적 개선

√  진상 역률개선

√  수용설비 이용효율 및 신뢰성 개선

√  비 수명 연장





고조파를 제거하는 방법 중에서 인버터 제어기술을 사용하여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는 필터 장치를 능동형 고조파 필터라고 한다이 능동형 고조파 필터는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전류를 실시간으로 분석(고조파 차수별 발생량)하여 매우 빠른 응답속도로 제거에 필요한 대응 고조파를 생성하여 전력회로에 공급한다

이 능동형 고조파 필터에서 생성되는 대응 고조파 전류는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된 고조파 전류와 벡터적 합산으로 나타난다.



 

 AHF 필터 외관 구조

 AHF 필터 외관 구조



   ◑  능동형 고조파필터 동작 개념   









Example. >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된 제5차 고조파 전류 ①가 +100A일때,

  고조파 필터에서 대응 생성한 제5차 고조파 전류 ②가 -97A 이면

  전력계통에 잔류되는 고조파 전류의 크기는?

 

Ans. > 부하측 발생 고조파와 대응 고조파의 벡터적 합이므로

 ① + = 100+(-97) = +3A가 된다.



   ◑  능동형 고조파필터 기본회로 구성   






능동형 고조파 필터 기본회로 구성 >







APF시스템은 유효전력 필터 혹은 능동형 전력 필터라고도 하며  고조파무효전력불평형 부하 등 3가지 제어기능을 통합하여 제어하는 최신의 3단계 활성필터로 구성된다.  APF는 비선형 부하에 의해 전력망에 유입되는 고조파 성분을 매우 빠르게 능동적으로 제거하여 시스템을 안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Panel type APF system

Rack type APF system

 Module type APF System




   ◑  APF 고조파 제거 원리   


  1)  고조파 스펙트럼 분석   


APF장치는 고조파 저감을 위해 부하전류를 측정분석하여 DSP에 프로그래밍된 고급 제어알고리즘을 통해 고조파 전류 스펙트럼을 계산하게 된다.  당사에서 공급하는 APF 제품시리즈는 2차에서 50차까지의 고조파 전류 스펙트럼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논리 계산식을 사용한다이 논리 계산식은 고조파 저감을 위해 선택된 각 고조파 차수에 대해 반대 위상각,으로 주입될 역고조파전류의 진폭을 결정하게 된다.




   < 고조파 전류 스펙트럼 분석 및 PWM 파형 생성  >



  2)  보상전류 생성 PWM 파형   


보상전류 생성회로(Active Filter)는 펄스 폭 변조(PWM)를 통해 고속 IGBT에 제어신호를 보내 결과적으로 각 고조파 전류에 대해 완전히 반대 위상의 역고조파 전류를 생성하여 시스템에 주입함으로써 제거하고자 하는 고조파전류를 상쇄하게 된다.




< 역고조파 보상전류 생성을 위한 PWM 파형 >





  3)  역고조파 생성 회로   





  < 3레벨 토폴로지 역고조파 발생 회로 >




  4)  불평형 부하 분산(밸런싱) 및 무효전력 보상   







  < 부하 밸런싱 및 무효전력 보상 회로 >



   ◑  APF 시스템 사양 선정   



당사에서 공급하는 APF제품은 캐비닛이나 벽면 부착형 모듈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다.


 No.

Parameter

Specification

Remark

1

   Rated Voltage Range

AC 400V / 440V / 560V~880V

Wide Voltage selection range, (+/-20%)

2

   Operation Frequency

50 / 60Hz

Selectable

3

   Parallel Operation

Unlimited

 

4

   Overall Efficiency

 97%

 

5

   Power Grid structure

3p-3w, 3p4w

 

6

   C.T

50/5 ~ 5000/5

 

7

   Rated Capacity

30A/50A/75A/100A/150A

 

8

   고조파전류 보상(HFC)

2차 ~ 50차 고조파, THDi < 5%

동적 실시간 보상 제어,

9

   필터링 각도

Adjustable 2 ~ 50

 

10

   무효전력 보상

-1 ~ +1 of full range

용량성유도성 양방향 부하 실시간 보상 제어

11

   자동역률 보상(APFC)

~ 0.99

동적 실시간 보상 제어

12

   불평형부하 제어

3상 불평형 부하 밸런싱

시스템 불평형에 영향을 받지 않음

13

   제어응답시간

<10ms

Swap time

14

   Quick / Full 

   Response time

40μs / 10μs

동적 실시간 제어 주기

15

   Switching Frequency

20kHz

IGBT cell, 시스템 전압 개선

16

   Interface /

   Communication

RS-485, MODBUS, 4G, 

WiFi, Ethernet

클라우드 커스터마징 지원

17

   HMi Function

자체 backlit LCD 기반 GUi

4.3’ touch screen

자체 LCD를 통해 직접 Op’ 파라미터 설정 

역률/고조파/부하 등 운전상태 감시 제어

알람이벤트고장 리포트

18

   PC software

Optional

Parameter set, monitoring

19

   Protection Control

Grid OV 보호

Load OC, OL 보호

System OT 보호

계통 과전압/저전압결상버스 과전압/저전압,

3상 순시 과전류/과부하 전류전원측 고장,

과열/팬 고장퓨즈 고장

20

   Measurements

계통분석분석을 위한 Operation data 

실시간 모니터링 제공

Network RMS - V,  RMS - I,  THD - V,  THD - I

Total RMS load current

System frequency

Load factor, Power factor

Compensated RMS current

Comparison of PF (after to before)

Graphic chart for V, I, P, compensated - I

Harmonic spectrum : 2~50 order of load current

21

   Fault Alarm

500 Alarms recordable

알람이벤트고장 정보




   ◑  APF  제품 시리즈   


l  Modular type APF (Compact and Light Weight)

Solution type

Specification

Geometry Size

30A

 Rack-Mounted

APF(R) - 30A

Single rack mount module

W453 x D450 x H86 (mm)

14kg


 Wall-Mounted

APF(W) - 30A

Wall mount module

W423 x D88 x H550 (mm)

15kg

50A

 Rack-Mounted

APF(R) - 50A

Single rack mount module

W453 x D450 x H86 (mm)

14kg

 Wall-Mounted

APF(W) - 50A

Wall mount module

W423 x D88 x H550 (mm)

15kg

75A

 Rack-Mounted

APF(R) - 75A

Single rack mount module

W551 x D540 x H190 (mm)

35kg

 Wall-Mounted

APF(W) - 75A

Wall mount module

W503 x D190 x H597 (mm)

36kg

100A

 Rack-Mounted

APF(R) - 100A

Single rack mount module

W551 x D540 x H190 (mm)

35kg

 Wall-Mounted

APF(W) - 100A

Wall mount module

W503 x D190 x H597 (mm)

36kg

150A

 Rack-Mounted

APF(R) - 150A

Single rack mount module

W558 x D540 x H220 (mm)

44kg

 Wall-Mounted

APF(W) - 150A

Wall mount module

W503 x D220 x H608 (mm)

45kg



l  Cabinet/Panel type APF

Solution type

Specification

Geometry Size

up to

750A

 400V APF

APF(C) – 400V

 

Control for : PF ~ 0.99, and THD < 5%

Compensation for : 2~50 order harmonics

Capacities and inductive reactive power 

and 3-phase unbalance load

 480V APF

APF(C) – 480V

 

Control for : PF ~ 0.99, and THD < 5%

Compensation for : 2~50 order harmonicsCapacitive and inductive reactive power and 3-phase unbalance load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기(SVC)는 동기조상기와 유사한 기능으로 무효전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이다이는 전력계통의 역률을 능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안정된 전압을 유지하고, 송전선로의 용량증가 등 전반적인 전력품질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과전압 억제 및 계통 전압안정도 향상 등 급변하는 부하로 인한 모선의 전압변동을 제한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  SVC 외관 구성   



 

  

SVC  Static Var  Compensator 외관 구성

SVC  Static Var  Compensator 내부 구조




   ◑  SVC 주요 기능   



계통에서 무효전력을 보상하지 않을 경우 용량성유도성 부하특성에 따른 전압(V)과 전류(I)의 위상 변화를 도시하면 아래와 같다






      < 부하특성에 따른 전압(V)과 전류(I)의 위상 변화 >

 

위와 같은 이유로 SVC시스템은 전력계통의 모선에 병렬로 접속하여 계통의 선로정수를 제어함으로써 부하특성에 따른 계통에 필요한 용량성 혹은 유도성 무효전력을 효과적으로 보상하여 역률을 개선하며비선형 부하로 인한 전압변동과 고조파 영향을 최소화하고 3상 부하 평형 등 전력품질을 개선함으로써 불요 전력손실을 줄이고 생산성 향상 및 제품품질 향상에도 기여한다.  주요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전압 안정 및 조절 기능으로 동적 부하 불평형 해소

√  급작스런 부하변동에도 전압강하를 줄임으로써 플리커링 완화

√  유도성 또는 용량성 무효전력 보상으로 역률 개선√  유해 고조파 제거






   ◑  SVC 경제적 이점   


√  공장 제조 생산성 향상√  전압 안정화로 전자장비의 수명 연장

√  에너지효율 개선으로 열 손실을 줄여 비용 절감

√  전력 유틸리티 및 기타 고객에 대한 전력비용 경감

√  플리커링 완화로 인접 수용가에 대한 장애 최소화

√  고조파 저감으로 보호장치 등의 오작동 최소화

√  유효전력 전송효율 향상

√  설비유지관리비 절감 



   ◑  SVC 기본회로 구성   


SVC는 선로정수에 영향을 주는 리액터와 커패시터의 조합을 사이리스터(Thyristor)로 제어하는 장치로모선과는 병렬로 접속하여 계통의 선로 정수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고조파 필터 기능도 지닌다.


√  TCR (Thyristor Controlled Reactor) 방식 : 분로리액터에 흐르는 전류를 사이리스터로 위상제어하는 방식

√  TSC (Thyristor Switched Capacitor) 방식 : 콘덴서 뱅크를 사이리스터로 스위칭 하는 방식





      < SVC 기본회로 구성, TCR / TSC type 병용 >





< SVC 기본회로 구성 제어기 탑재식 >



   ◑  SVC 적용 분야   


 1)  송전계통

         장거리 송전 중 무효전력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송전효율을 향상시킨다.


 2)  대형 산업 설비

         제철소제련소시멘트 공장 등에서 아크로용광로대형 모터 등 부하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전압 불안정을 보상한다.


 3)  전기철도 시스템

         전기열차 운행 시 발생하는 순간적인 전압변동을 안정화하여 철도전력계통의 전력품질을 유지시킨다. 


 4)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처럼 출력이 불규칙한 전원에서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을 보상하여 계통연계 안정성을 높인다.


 5)  HVDC 변전소 주변

         고전압 직류송전(HVDC) 계통과의 연계지점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을 보상하여 AC 계통의 전압 안정화를 돕는다.







   ◎ SVC 적용사례 (대용량 Arc furn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다음은 산업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로 제강공정 Arc Furnace에서의 SVC 시스템에 의한 적용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1)  SVC 시스템 구성


기본적으로 운전조건에 따라 유도성(L) 부하와 용량성(C) 부하를 실시간으로 교번 제어를 할 수 있도록 TCR과 TSC가 함께 구성되어 있다.








2)  SVC 시스템 적용 사양


  SVC 보상 용량 :  0~400Mvar

  모선 제어 가능 전압 :  6~500kV

  SVC 정격 전압 :  6~66kV

  전체 동적 응답시간 (무효전력 출력) :  <15ms

  SVC 가용성 :  >99%

  SVC 최대 손실 :  <0.8%


 

3)  SVC 시스템 적용 효과

 

  극심한 부하 변동이 발생하는 대용량 전기로(아크로유도로, DC부하의 역률개선 최적화 운전

  전압 안정화로 플리커링 억제 및 각종 보호기기 오작동 방지

  용해용량 증가 (용해시간 단축 및 생산성 향상)

  전극교체 비용 절감 (교체주기 연장)

  안정적인 아크 공급으로 전기로 라이닝 마모 감소

  전력손실 감소







SVG(Static Var Generator)는 실시간 무효전력 발생기 또는 능동형 역률보상기(APFC: Active power Factor Compensator)라고도 하며무효전력 증가로 인한 낮은 역률 및 제반 전력품질문제를 개선하는 데에 궁극적인 해결책으로 무효전력 보상 분야에서 대표적인 기술창치 이다. SVG는 전력망 모선에 병렬로 연결되며 이는 가변적인 무효전류 공급원으로 작동하게 된다



                    



     SVG 주요 기능   


SVG는 인버터의 AC출력측에서 전압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거나, AC전류를 측정해 진폭과 위상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모든 무효전력을 신속하게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어 매우 빠르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계통에서 무효전력을 조정하여 직류성분을 제어하면 임펄스부하의 돌입전류를 추적해 보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조파 전류도 추적하여 보상할 수 있다최근에는 전력전자 인버터 기술을 이용하여 보상 대상과 크기가 동일한 정반대 위상의 역전류를 생성하여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역률을 1에 가깝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또한  SVG는 전력공급시스템의 전력품질 문제에 대해 즉각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고성능 전자모듈로 일종의 능동형 필터 (APF, Active Power Filter )기능도 가진다.  SVG의 주요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고속의 IGBT소자 사용으로 실시간 무효전력 보상

√  능동형 고조파 필터기능으로 장비의 과열오작동 등 고조파에 따르는 각종 폐해 방지 

√  각종 이상전압돌입전류 등을 추적 제어함으로써 장비 안정성신뢰성 향상 및 수명연장 

√  에너지 손실 감소로 전력시스템 용량 증가



     SVG 시스템 기본회로 구성   


SVG는 전력전자회로 장치로서 역률개선이나 고조파 완화가 필요한 부하와 병렬로 연결하여부하가 유도성 또는 용량성 전류를 생성하면 그 부하전류에 상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킨다이 때 부하 측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 차이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Lead 또는 Lag 전류를 생성하여 모선에 주입해 부하 전류의 위상 각도를 전압의 위상 각도와 거의 동일하게 맞추어 기본 역률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 SVG 시스템 기본회로 구성 >




     SVG 시스템 작동 원리 및 운전특성   

 

부하가 있는 시스템에서 역률이 떨어지면 설비의 에너지 손실이 증가하고 설비의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이러한 현상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데 필요한 무효전력을 요구하는 유도성 또는 용량성 부하로 인해 발생한다역률을 저하시키는 또 다른 원인의 하나는 비선형 부하에 의해 생성되는 고조파 전류와 전력시스템의 부하변동이다이에 대해 SVG는 실시간으로 유도성 또는 용량성 무효전력을 공급하는데SVG의 빠른 응답특성은 기존의 커패시터 뱅크나 리엑터 뱅크로는 구현이 어려운 속응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이고 정확한 역율 보상이 가능하다.



  1)  기존 커패시터 보상방식에 의한 역률보상 특성 (계단식, 단속적 제어)  





기존 커패시터 뱅크 방식에 의한 역률보상 특성 >




  2)  신기술 SVG 제어방식에 의한 역률보상 특성 (무단식, 연속제어)  





신기술 SVG 제어방식에 의한 역률보상 특성 >



  3)  능동형 SVG-APFC 제어방식에 의한 운전특성 비교 (실시간 PF 연속제어 실현)   





     < 능동형 SVG - APFC 연속 제어방식에 의한 운전특성 곡선 비교 >



  4)  SVG 운전모드 별 V-I 위상특성 비교  



SVG 운전모드 별 V-I  위상 특성 비교 >



     SVG 시스템 적용 시 경제적 이점   


신기술인 능동형 SVG 시스템은 변동성이 큰 리엑턴스 부하에 대응하여 실시간 연속적으로 무효전력을 공급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경제적인 이득을 실현할 수 있다.

√  전력 유틸리티 및 인접 설비에 대한 전력비용 절감
√  플리커 현상 최소화 및 주변공장에 대한 지장 최소화
√  L, C 미사용으로 계통의 직,병렬 공진 원천 방지
√  L, C를 사용하지 않는 미래 기술로 점진적 수요 증가
√  유효전력 전송능력 향상 및 제어효율개선
√  각종 보호장치의 오작동 발생 최소화
√  에너지 손실 최소화 및 비용 절감
√  공장내 생산성 및 용량 향상  
√  총 에너지 종합 효율 향상
√  인접 전자장비의 수명연장
√  유지 관리비 감소










     재래식 설비 대비 SVG 시스템 장점   

 구   분

재래식  L-C 뱅크

 SVG 시스템

   응답시간

   MC기반 : 30~40s 소요

   THY 기반 : 20~30ms 로 완화

   전체응답시간이 100µs 미만으로 실시간 대응 가능

   출력

   Step 때문에 부하에 실시간 매칭 불가

   C, L 사용으로 그리드 전압에 따라 달라짐

   실시간 무단연속적원활한 작동

   그리드 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음

   PF 보정

   유도성 부하에는 C뱅크용량성 부하에는 L뱅크 필요 부하가

   혼재된 곳에서는 문제소지가 있음,

   Step 때문에 일정 PF를 보장하지 못함

   지연/선행 영역 전구간 -1 ~ +1까지 실시간 동시 보정 가능

   불평형부하

   부하불평형은 보정하지 못함

   부하 불평형 량을 선택적으로 보정할 수 있음

   설계 범위  (규모)

   L, C 용량 결정을 위해 사전에 무효전력 연구 필요

   일반적으로 계산 용량보다 더 큰 용량의 L,C 필요

   시스템 고조파도 고려해 설계 필요특정 부하 및 네트워크 

   조건에 맞게 맞춤 제작 필요

   실시간 자동조정되기 때문에 광범위 연구 불필요,

   작동 시 완화 용량은 최적화된 값임,

   시스템의 고조파 왜곡에 영향을 받지 않음,

   부하 변동 및 네트워크 조건에 자동 적응됨

   공진 영향

   직렬병렬 공진은 시스템 전류를 증폭시킬 수 있음

   네트워크와의 고조파 공진 위험이 없음

   과도 현상

   C뱅크 또는 분로리엑터의 스위칭에 의해 발생

   발생하지 않음(패시브 구성요소 전환이 없음)

   과부하

   느린 응답 또는 큰 부하변동으로 인해 발생

   전류가 최대 값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발생치 않음(RMS)

   설치 면적

   고조파 차수가 있는 경우 중 대규모 공간 소요,

   부하가 자주 업그레이드 되는 경우 증설이 어려움

   모듈 크기가 작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적고 설치가 간편

   기존 개폐기 사용 가능

   확장성

   제한적이고 부하 및 네트워크 조건에 따라 다름

   매우 단순함모듈만 추가 하면 됨

   유지보수/수명

   광범위한 유지관리를 위해 휴즈, CB, CS, L, C 등 구성요소가 

   필요하고 스위칭과도 전류공진 등으로 인해 수명이 단축됨

   전기 기계적 전환이 없고 고장의 위험이 없어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과도나 공진이 없어 사용 수명이 최소 15년 이상 임.





     SVG 시스템 적용분야   

√  백업용 발전기를 필요로 하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선행 역률 보정이 필요한 설비
√  전기 아크로 및 볼 밀과 같이 빠르게 변화하는 무효전력 수요가 있는 설비
√  역률이 급격히 변동하거나 크레인제재소 기계용접기 등과 같이
√  부하전류가 큰 폭으로 변동하는 매우 역동적인 부하.
√  역률이 낮은 부하 : 모터케이블경부하 변압기조명 등
√  태양광 인버터 및 풍력 터빈용 인버터
√  전기철도 시스템 : 기차 및 트램







  ◑  저압용 LV-SVG 제품 시리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당사에서 공급하는 저압용 정지형 무효전력 발생기(SVG)는 외부 C.T를 통해 부하전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내부 회로에서 DSP 연산을 통해 무효전류를 분석한 다음 그 보상 값을 설정하여 PWW 제어신호를 발생인버터 회로IGBT를 구동해 보상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동적인 무효전력을 보상하게 된다.


   ◎   LV - SVG Key Function   

√  PF 유지 : 0.99
√  용량성유도성 무효전력 보상 : -1 ~ +1
√  고조파 필터링 : 2 ~ 12차 고조파
√  3상 불평형부하 보상


   ◎   LV - SVG 시스템 특징   

√  유도성 또는 용량성 무효전력을 생성상호 보완적으로 주입하여 역률 개선
√  PWM 제어방식의 전압원으로 작동급격한 부하변동에도 매우 신속히 대응하여 전압 안정 및 부하 불평형 해소
√  고속 IGBT 제어로 수ms 내에 반응고조파에 의한 전압왜곡 현상을 신속히 제거



   ◎   LV - SVG 제품 선정         


1)  LV - SVG 모델 선정   





2)  LV - SVG 기본사양 선정 (data Sheet)   

 Parameter

 Specification

 Remark

  Rated Voltage Range

   AC 380V*,  110V ~ 690V

   +/-20%

  Operation Frequency

   50 / 60Hz

   Selectable

  Parallel Operation

   Unlimited

 

  Overall Efficiency

    97%

 

  Power Grid structure

   3p-3w, 3p4w

 

  C.T

   50/5 ~ 5000/5

 

  Rated Capacity

   30kVar / 50kVar / 75kVar / 100kVar / 500kVar

   120kVar / 500kVar

  고조파 필터링

   2차 ~ 12차 고조파, THDi < 5%

   동적 실시간 보상 제어

  필터링 각도

   Adjustable, 2 ~ 50

 

  무효전력 보상

   Adjustable, -1 ~ +1

   용량성유도성 양방향 부하 실시간 보상 제어

  자동역률 보상(APFC)

   ~ 0.99

   동적 실시간 보상 제어

  불평형부하 제어

   3상 불평형 부하 밸런싱

   시스템 불평형에 영향을 받지 않음

  제어응답시간

   <10ms

   Swap time

  Switching Frequency

   20kHz

   IGBT cell, 시스템 전압 개선

  Interface, Communication

   RS-485, MODBUS, 4G, WiFi, Ethernet

   클라우드 커스터마징 지원

  HMi Function

   자체 backlit LCD 기반 GUi

   4.3’ touch screen

   자체 LCD를 통해 직접 Op’ 파라미터 설정 역률/고조파/부하 

   등 운전상태 감시제어, 알람이벤트고장 리포트

  PC software

   Optional

   Parameter set, monitoring

  Protection Control

   Grid OV 보호

   Load OC, OL 보호

   System OT 보호

   계통 과전압/저전압결상버스 과전압/저전압,

   3상 순시 과전류/과부하 전류전원측 고장,

   과열/팬 고장퓨즈 고장

  Measurements

   계통분석분석을 위한 Operation data

   실시간 모니터링 제공

   Network RMS - V,  RMS - I

   THD - V, THD – I, Total RMS load current

   System frequency,

   Load Power Factor

   Compensated RMS current

   Comparison of PF (after to before)

   Graphic chart for V, I, P, compensated - I

   Harmonic spectrum : 2~50 order of load current

  Fault Alarm

   500 Alarms recordable

   알람이벤트고장 정보



3)  LV - SVG 설치사양 선정   



  


  

  

 Rack mount type

 Wall mount type

 Panel/Cabinet type



4)  LV - SVG 외관규격 선정   

 Installation

  Rack Mounted

  Wall Mounted

 Dimension 

 30 / 50 kVar

 75 kVar

  100 kVar

 30 / 50 kVa 

 75 kVar 

 100 kVar

  W

  452.5 / 472

  550.6

 558

423 / 503 

  503

 503 

  H

  450 / 540

  540

 540

  88 / 122

 190

220 

  D

  86 / 122

  190

 220

  550 / 558

  597

  608



5)  LV - SVG 제품 모델 선정  


    800V

 110 kVar

 

 

 

 

 

 

    3p3w

    690V

 120 kVar

 

 

 

 

 

 

    3p3w / 3p4w

    440/480V

 30 kVar

 83 kVar

 

 

 

 

 

    3p4w

    440/480V

 12 kVar

 20 kVar

30 kVar

 60 kVar

80 kVar

 100 kVar

 

    3p3w

    400V

 5 kVar

 10 kVar

 20 kVar

 30 kVar

 50 kVar

 75 kVar

 100 kVar

    3p3w / 3p4w

    220V

 3 kVar

 5 kVar

 10 kVar

 15 kVar

 20 kVar

 30 kVar

 55 kVar

    3p3w / 3p4w



6)  LV - AHF / SVG 제품 커스터마이징 모델 선정  


Mini  AHF/SVG

Fanless AHF / SVG 

800V, Power Pro  AHF / SVG

Water Cooling AHF / SVG

Outdoor  AHF / SVG 

Fully sealed AHF / SVG 

 10A / 5kVar

  10A / 5kVar

  80A / 110kVar

  100/150A, 75/100kVar

 100/150A, 75/100kVar

  100/150A, 75/100kVar

 

 

 

 

 

 

  Better sampling accuracy

  it is the new market oppertu

  -nity to eliminate 0-1kVar

  capacitive power

  Lower noise

  it is used in office, hotel, 

  store andrestrant etc,


  Higher voltage support

  it will be use in PV plant to 

  solve PF problems


  Better heat dissipation

  it is a good solution for

  data center


  High potential level

  it is a new market oppertunity    in outdoor power quality

  project

  More harsh condition

  it is used in very harsh 

  condition (conductive dust)






  ◑  고압용 HV-SVG 제품시리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당사에서 공급하는 HV-SVG 제품시리즈는 모두 시스템적으로 구조와 성능이 동일하므로 어느 제품이든 고객편의 운전 유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한다.



 

 

HV-SVG indoor type

HV-SVC outdoor type





  ◎  HV-SVG 시리즈 기본회로 구성   





< HV-SVG 기본회로 구성 >



  ◎  HV - SVG 품질 보증  


√  적용부품 100% 품질 전수검사 실시

√  첨단 자동용접 및 검사시스템 운용

√  방진, 방수 및 정전기 방지 도료 도장 적용

√  고온, 저온 에이징 및 시험 실시

√  군용급 전자기파 및 고전압 내성시험 실시

√  200MVA 까지 전부하시험 설비 운용



  ◎  HV - SVG 시스템 특장점  


√  시동단계에 완전 자동진단 실행

√  DSP 및 FPGA 기술을 통한 통신 신뢰성 및 응답시간 향상

√  군용급 통신오류코드 검출기술 적용

√  UPS의 불안정성 해결을 위한 이중화 전원공급 장치 적용

√  네트워크 충돌방지를 위한 플랙시블 시동기술 적용

√  주요장치 이중화 및 모듈화 설계

√  이론 기반 순시 무효 전류, 전력 실시간 감시

√  PWM 전류 추적제어기술 적용

√  DC 측 전압평활제어기술 적용

√  DC 전류 최대 5 ms의 빠른 응답속도로 제어

√  다중보상 기능(무효전력 보상, 고조파전류 보상, 역상전류 보상 및 종합 감시 보상) 적용

√  Modubus, IEC61850, 103, 104 등의 개방형 통신 I/F 프로토콜 채택

√  시스템 운용 통합설계 적용으로 1 버튼 운전조작,  전과정 자동운전

√  프로그래밍 가능한 I/O 연결 인터페이스 무료 제공

√  완벽한 모듈화 설계로 정확한 고장 위치 파악 (5분 내고장 조치 실현)

√  커스터마이징 기반  통합설계 제작으로 현장설치 즉시 가동 가능 (시운전 생략)



  ◎  HV - SVG 시스템 적용 분야  







  ◎  HV - SVG 모델 선정  


   1)  indoor type





   2)  Outdoor type


      ☞.  Note:27.5kV 와 33kV 시리즈는 리엑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산업용 전기설비들은 유도성 부하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효율적으로 작동케 하려면 그에 상응하는 반대 특성의 용량성 무효전력을 공급해 상쇄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무효전력은 부하와 병렬로 커패시터 뱅크를 설치하여 공급할 수 있다커패시터 뱅크를 유도성 부하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역률을 거의 1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역률 개선은 궁극적으로 부하측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를 줄이는 과정으로서기본적으로 커패시터뱅크는 진상전류를 만들어 투입함으로서 지상의 부하전류를 정상으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커패시터 뱅크 외관   



 


 

 

LV-CB indoor type

 HV-CB indoor type

 HV-CB outdoor type




    커패시터 뱅크 기본 구성   

 

커패시터 뱅크는 여러 개의 커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조합 연결하여 구성하며주로 전력시스템의 역율개선전압 안정화 고조파 저감 등을 위해 사용된다커패시터 뱅크를 구성하는 주요 장치들은 다음과 같으며 필요에 따라 차단기계전기변류기 등의 보호 장치들도 함께 구성된다.


√  Capacitor (커패시터)

√  Serial Reactor (직렬 리엑터)

√  Discharge Coil (방전 코일)






역률 개선용 커패시터 뱅크 기본 구성 >




  1)  커패시터 (CAPACITOR)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Capacitor for Power Factor Correction)의 용량 결정은 주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시스템 역률 분석 


      시스템의 현재 역률 분석

      부하 계산서 작성 (전체 부하의 역률을 확인)

      커패시터를 설치할 시스템 별 역률 확인


  목표 역률 설정


      원하는 목표 역률 설정 (국가별로 요구하는 역률이 조금씩 다름)

      국내의 경우 한전에서 0.9를 요구하지만 실제로는 역률이 부하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최소 0.93을 목표치로 설정


  필요한 보상 용량 계산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의 용량은 아래 계산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P (kW):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유효전력 (kW)

      θ1: 현재 역률값 (cosθ1 : 현재 역률)

      θ2: 목표 역률값 (cosθ2 : 목표 역률)


      소요 커패시터 용량 :  Pr (kVar) 


      Pr = P (kW) x tan (θ1-θ2) 



        



    




  커패시터 용량 선택


      계산된 커패시터 용량을 토대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적절한 용량의 커패시터를 선택.

      용량이 아주 크거나 역률보상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step 수 와 step 당 각 유닛의 커패시터 용량 산정.

      통상 3개의 뱅크를 설치하여 각 뱅크의 용량을 서로 다르게 하여 그 조합에 따라 제어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Ex. >  총 3000 kVar의 용량이 필요한 경우,

      Ans. >  뱅크를  500, 1000, 1500 kVar 용량으 3개로 구성하여

                   그 조합으로  각각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kVar 총 6단계의 스텝을 만들 수 있다.



  2)  직렬 리엑터 (REACTOR)   


 커패시터 뱅크에서 직렬 리엑터의 기능은 크게 2가지로서돌입전류 제한 기능과 고조파전류 제한 기능이 있다.


  돌입, 기동전류 제한 리액터


      유도전동기와 같은 기동전류가 큰 부하에서 단자 전압을 억제하여 기동전류를 저감시키고 차단기 용량을 줄이기 위해  적용된다. 

      이는 기동시 돌입전류 제한 기능으로 만 쓸 경우 리엑턴스는 0.2로 하며 이 값은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이 경우 돌입전류는 최대 

      1 + √(1.0 / 0.002) = 23.4 배 까지 될 수 있다.

 


      


< 돌입, 기동전류 제한 리엑터, Starting Reactor >




  고조파 전류 제한 리액터


역률 개선용 콘덴서와 직렬로 연결하여 고조파를 저감 시키고 커패시터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고조파 저감 리엑터는 통상 6% 정도의 리엑턴스를 적용하며이 경우의 돌입 전류는 최대 5.1 배까지 될 수 있다.




< 고조파 전류 제한 리엑터 >



☞.  REACTOR CORE의 종류 및 절연 방식


       Reactor  core 종류는 air core  iron core가 있으며 절연방식은 dry type  oil type 이 있다.


      √  Air core 건식으로만 제작이 가능하고 coil 만 있는 상태로 cubicle 내장이 어려우며 주로 옥외에 설치한다.

      √  Iron core : 건식 또는 유입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cubicle 내장이 가능하다.

      √  유입식으로 할 경우는 옥내에 설치 불가하며 옥외에 설치하더라도 oil leakage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3)  방전코일 (DISCHARGE COIL)   

 

방전 코일의 용도는 커패시터 회로의 잔류 전압을 제거하고 선로에 재 투입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전력용 커패시터에 내장된 방전 저항 만으로도 규정치 이하로 잔류전압을 낮출 수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방전 코일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고전압 대용량 등 설비 특성상 꼭 필요한 경우는 별도의 방전 코일을 설치하여야 한다.

 

☞.  전력용 커패시터의 방전특성 규정


       KS C 4802 고압 및 특별고압 전력 커패시터 à 방전 5분 이내 50V 이하

       KS C IEC 60871-1 정격전압 1000V 초과 교류 시스템용 분로 커패시터 à 방전 10분 이내 75V 이하

       KS C 4804 고압 및 특별고압 진상 콘덴서용 방전 코일 à 방전 개시 5초 후에 50V 이하





    커패시터 뱅크 설치 및 유지관리   


역률보상용 커패시터는 전력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기요금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역률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의 용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떨어 질 수 있으므로 커 시스템에 설치하고 나면 반드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관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뱅크용 리엑터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전력용에 있어서는 주로 서지 전류나 돌입 전류를 제한해 이상전압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콘덴서와 함께 조합되어 설치되는 경우는 콘덴서에 의해 발생하는 고조파를 제거하는 기능과 또한 돌입 전류와 과전압을 억제하여 전압의 파형을 개선하는 효과도 가진다.  





 

철심형 리엑터

 공심형 리엑터

건식 리엑터 

 유입식 리엑터





  ◑  리엑터 용도별 기능 및 특징   



전력회로에 적용되는 리엑터를 용도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직렬리엑터 :  고조파 제거 및 전압파형 개선

  ◈  분로리엑터 :  송전선로 페런티 현상 방지

  ◈  한류리엑터 :  고장전류단락전류 및 돌입전류 제한

  ◈  중성점접지리엑터 :  지락 사고시 지락전류 제한 및 이상전압 억제

  ◈  소호리엑터 :  지락시 아크 소호




   ◎  고조파 억제용 직렬 리엑터   



  ①  고조파 제거 및 전압파형 개선


콘덴서를 조상용으로 송전선에 연결할 때 가장 큰 문제는 전압파형이 왜곡되는 것이다. 이는 선로상에 있는 변압기들이 자기포화 현상 때문에 고조파 전압이 전압이 유기되는데 콘덴서를 연결함에 따라 고조파전압이 증폭되는 현상이다이중 3고조파 전압은 변압기 저압측의 델타결선으로 제거되고 5고조파는 제거되지 않고 남게 된다.


  ②  서지성 전류 제한


리엑터를 교류회로에 직렬로 접속하여 돌입전류나 단락전류를 제한하거나 병렬회로의 전류분담을 제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단락시의 전류를 제한 하는 리엑터를 한류리엑터라고도 하며, 사용상 정격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그 전압강하가 상전압의  정도가 되게 비교적 작은 리엑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③  제5고조파 전류 제한


역률개선용 커패시터에 직렬로 접속하여 제5고조파에 대한 임피던스를 높여 고조파 유입량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되는  리엑터의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6% 정도로 주로 갭이 있는 철심형 리엑터가 사용된다 제3고조파를 많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13~15% 정도의 용량이 사용되며여유도는 보증값의 +20~30% 정도가 적정하다.


  ④  공심형 리엑터 특성


전류의 크기와 상관없이 리엑턴스 값이 일정하고 안정적인 것이 특징이어서 송전선로 양단간에 주종으로 사용된다.


  ⑤  철심형 리엑터 사용상 주의사항


렬 리엑터는 계통의 최대 고장전류에 따라 임피던스가 지정되므로,  자기포화 지점에서 리액턴스가 왜곡되는 현상이 있는 철심형 리엑터를 사용 할 경우에는 철심이 포화되지 않는 구간에서만 운용이 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




   ◎  분로 리엑터   



  ①  송전선로 진상전류 보상


분로리엑터는 송전선로 모선에 병렬로 접속하여 선로의 진상전류(경부하시 케이블의 충전전류)를 보상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 전력계통의

규모가  확대되고 전원의 원격화부하의 집중화 등으로 장거리 대전력 송전의 증가에 따라 케이블 계통의 정 용량 증가로 전력계통에 필요한

조상설비 용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통상 30, 60[MVA] 정도의 단기 용량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②  분로리엑터 설치 개소


분로리엑터는 기본적으로 송전선로 양단 변전소에서 설치되며, 콘덴서와 조합하여 조상설비 기능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 송전선로 분로 리엑터 적용 개소 >





  ③  분로 리엑터 적용 유형


분로리엑터는 주로 고전압계통에 적용되므로 구조는 보통 유입 갭이 있는 철심형이나 상하부에 자기장차폐 철편이 있는 공심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공심형 리엑터 구조 >




  ④  리엑턴스 여유도


리엑터는 철심의 와전류손,  진동 소음 등이 문제가 되므로 제작사에 따라 각각 특징이 있는 구조로 설계가 되며, 분로 리엑터의 리엑턴스 여유도는  일반적으로 보증값의 ±5% 정도로 적용된다.





   ◎  한류 리엑터   



  ①  단락전류 제한 


한류 리엑터는 변압기 투입시 1차측에 흐르는 돌입전류나 단락전류를 소정값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이는 차단기의 차단용량을 경감시키고 직렬기기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도 지닌다.



    



  ②   %Z (임피던스)


전항 단락전류 식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단락전류는 리엑턴스 값이 클수록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Z(임피던스)는 다음 계산식으로 부터 산정된.



    



  ③  사용시간 정격(time rate)


사용 시간에 대한 정격은 통상적으로 1~5sec 정도의 단시간 정격이 적용된다






   ◎  중성점 접지 리엑터 (NGR)  



  ①  접지리엑터 설치 개소


변압기 중성점과 대지 사이에 접속하여 3상 전력계통의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를 제한하고 이상전압을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 중성점 접지리엑터(NGR) 설치 개소 > 



  ②  접지 전류 제한


중성점 접지전류의 크기는 변압기 용량에 비례한다.  필요에 따라 보완 저항을 직결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③  사용시간 정격


단시간 사용에 따른 전류 정격은 특별한 지정이 없는 경우 통상 10초를 기준으로 한다.


  ④  임피던스 여유도


중성점 접지 리엑터의 임피던스 여유도는 ±20~30% 수준으로 한다.





   ◎  소호 리엑터  


   ①  지락전류 제한

송전선의 중성점 접지방식의 하나로 계통의 중성점과 대지와의 사이에 접속하는 리엑터로 지락점의 용량성 전류를 제한한다.

   ②  지락지점 아크 소멸 

 3상전력 계통의 1선 지락사고시에 영상 커패시턴스와 병렬공진시켜 지락점의 전류를 제거하여 아크를 소멸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아래 그림에서 “a”상에 지락고장 발생시 선로의 전전용량 Cs와 소호 리엑터 XL로부터 지락전류 Ig가 흐르게 된다.






         < 소호 리엑터 설치 개소 > 







********************************************************************************************************************************************************************************

()선진하이테크 / Seonjinhitech Co., Ltd.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발안공단로 413 / 대표  백용호

Tel: +82-31-8059-1387 / Fax: +82-31-8059-1397

E-Mail: sjhtech@seonjinhitech.co.kr

Website: http://seonjinhitech.co.kr



선진하이텍 Seonjin Hitech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발안공단로 4길13 | 대표 : 백용호
Tel : +82-31-8059-1387 | Fax : +82-31-8059-1397 | E-Mail : sjhtech@naver.com, sjhtech@seonjinhitech.co.k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