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신재생에너지 설비


   신재생에너지시스템   (Renewable Energy System)           






   ◐  일반사항   



 

신재생에너지시스템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태양, 바람, 물, 지열 등)을 활용하여 전기나 열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생산, 저장, 공급하는 

통합적인 기술과 장비 일체를 의미한다.




   ◎  신재생에너지 종류 및 특징   


  에너지 종류

 작 동 원 리

 장 점

 단 점

 적용 사례

 

태양광 

(Solar PV)

  태양빛   전기 (광전효과)

  청정에너지

  유지비 저렴
  소규모 설치 가능 

  일조량에 의존
  낮에만 발전
  설치비용 다소 높음 

  주택용, 상업용

  소규모/대규모 발전단지

  독립형, 그리드 연계형

 

태양열

(Solar Thermal)

 태양빛   열 에너지

  난방·온수에 효과적

  단순 구조

  야간 사용 불가

  계절 영향 큼

  온수기, 난방기

  농업용 건조기

 

풍력

 (Wind Power)

 바람의 운동 에너지   전기

   (터빈 회전)

  발전 효율 높음

  설치 후 유지비 저렴

  바람 조건에 의존
  소음 및 경관 문제

  해상/육상 풍력 발전소

 

수력

 (Hydro-power)

  물의 위치에너지로 터빈을

   돌려 발전

  발전 효율 최고
  즉시 전력 생산 가능

  환경 훼손 우려

  댐 설치 공간 필요

  대규모 댐,

  소형 수력 발전

 

지열

 (Geothermal)

 지하 열을 이용해 증기 또는

   온수로 발전

  연중 무휴 가동

  온실가스 거의 없음

  지역 제한

  초기 개발 비용 큼

  지열 냉난방

  온천 지역 발전소

 

바이오에너지

 (Biomass)

 생물자원   연료 또는 전기

  폐기물 재활용 가능

  저장 용이

  탄소 배출 일부 존재

  연료 수급 필요

  바이오가스 발전소

  농업 폐기물 에너지화

 

해양에너지 

(조력, 파력, 해류..)

  조수/파도 등 물운동에너지

   ⇒ 전기에너지로 변환

  예측 가능한 자원
  탄소 배출 없음

  기술 미성숙

  해양 생태계 영향 우려

  조력발전소 (예:시화호)

  시험적 해양 발전장치



√  스마트그리드와 연동되면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를 지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다.

√  에너지저장장치(예 : 리튬이온 배터리, 수소저장기술)와 함께 사용할 경우 에너지 자립이 가능해 진다.

√  대부분의 신재생에너지시스템은 전력망 연계형 또는 독립형으로 운영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시스템 구성 요소   


√  발전 시스템 :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수력 발전기 등

√  인버터 및 제어 시스템 : 전력 변환과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장치

√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 효율적 사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  에너지 저장 장치 : 배터리, 수소 저장 등



     신재생에너지시스템 활용 사례   


√  가정용 태양광 발전 : 전기요금 절감

√  친환경 농업 하우스에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  건물 에너지 자립 시스템(BEMS) : 에너지 사용 최적화

√  스마트 그리드 : 전력망과 IT 기술 결합





                                                                      

태양광발전은 태양전지(Solar Cell)의 광전효과를 이용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광전효과는 어떤 금속에 그 금속의 한계 진동수보다 높은 진동수의 빛이 조사되었을 때 자유전자가 생성되는 현상이다광전효과는 1839년 프랑스의 베르켈이 최초로 발견하였는데초기에는 발전효율이 1~2% 수준이었으나 이후 지속적인 소재기술 발달에 힘입어 최근에는 발전효율이 25~30% 수준에 이르고 있다이를 에너지 크기의 관점에서 살펴보면지구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는 제곱미터당 약 1000[W] 수준이므로 제곱미터당 발전에너지의 크기는 250~300W 에 이른다.




     태양광발전 원리   



아래 태양광전지 구조도에서 빛을 받는 면은 상층에 있는 N층이며 P층보다 두께가 얇다. 이는 빛이 접합면에 도달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이다N층 상부는 저철분 강화유리로 되어 있으며, 이는 빛을 받아 들이면서 모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데 펄코팅이 되어있어 이물질이 잘 붙지않는 구조이다.






< 태양광전지 구조 >



 

     태양광발전 입사광 조도 기준   


 

하루 중 해가 정남쪽에 있을 때를 남중고도라고 하는데, 시간적으로는 일간 12시에서 1230분경에 가장 높게 나타나며, 계절적으로는 하지 때가 가장 높고 동지 때가 가장 낮게 나타난다.  아래 그림은 남중고도의 개념과 우리나라(한국)의 월별 남중고도를 통계적으로 나타낸 차트로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발전량을 설계할 때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 남중고도는 위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남반구에서는 정반대로 나타난다






   < 위도상 태양의 남중고도 기준 >



1) 계절별 남중고도 기준 (한국기준)  


구      분

춘분 (Vernal Equinox) 

하지 (Summer Solstice) 

추분 (Autumn Equinox) 

동지(Winter Solstice)

위      도

90°  위도   

90° – 위도 + 23.5° 

90°  위도   

90° – 위도 - 23.5°  

계 산 례

 

Ex . > 위도가 36°인 지역에서 하지의 남중고도는?

  ​90° - 36° + 23.5° = 77.5°

  ​설계시 입사각은 발전한계시각의 태양의 고도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한다.

  ​이 경우에는 20°에서 25°사이를 적용하면 적정하다 




아래 그림은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른 단위면적당 태양광 입사 에너지 분포를 설명한 것이다 





  < 위도상 태양의 남중고도 계산 >




     


  < 한국 전역의 통계적 월별 태양의 남중고도 >




2)  태양광패널 설치각 적용기준 (한국기준)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때 설치각 결정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이는 동지 때 발전한계시각(일출 후 2시간, 일몰 전 2시간)을 기준으로 결정을 하는데 부지이용률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그 최적값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 결정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설치각을 작게 하면 설치부지가 늘어난다.

  폭설지역에서는 설치각을 크게 해 주어야 하는데 설치각을 크게 하면 이격거리도 크게 해야 한다.

  내륙에서는 해안 폭설지역보다는 이격거리를 좁게 할 수 있다.

  적정 이격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면 발전효율이 떨어진다.

​  적정 이격거리란 발전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리로 지역에 따라 달라 진다.

  공해지역은 설치각을 크게 되고 ​공해가 없는 지역은 반대로 낮게 설치해도 된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특징   

 

태양광 발전은 대표적인 친환경 발전으로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연료비가 들지 않는다.  

또한 초기 건설비를 제외하면 원격 무인관리 등으로 유지관리비가 크게 들지 않는다.  



1)  태양광발전시스템 특징






<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특징 >  






2)  태양광발전시스템 장단점 



 태 양 광 발 전   장 점

 태 양 광 발 전   단 점


  규모에 관계없이 효율이 일정하다.

     발전효율은 용량보다 사용하는 모듈과 인버터의 성능에 따라 결정된다.

​  자원이 반영구적이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화석연료처럼 갈되거나

    가격이 높아지지 않는다.

  친환경 에너지다.

    화석연료로 발전할 경우 나오는 탄소의 배출이 없기 때문에 친환경

    에너지이다.

  산란광도 이용가능하다.

    모듈로 직접 입사하는 태양광 뿐만 아니라 양면 모듈을 통해 바닥에서 

    반사되는 산란광까지 이용할 수 있다.

 ●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태양광발전은 태양이 비추는 곳이면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다.  

    건물옥상산비탈면까지 태양이 비추는 곳이라면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


 ● 태양광은 에너지밀도가 낮다.

     다른 발전설비 대비 단위 면적당 발전량이 낮다

     발전량을 늘리려 면 더 많은 면적에 더 많은 태양광을 설치할 수 밖에 없다.

 ● 초기 투자비용과 발전단가가 높다.

    부지확보태양광모듈인버터구조물수배전반계통연계 등 건설 초기 투지 

    비용이 많이 든다.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흐린 날씨나 눈비가 올 경우 발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평균발전시간이 작다

    (한국의 경우 일평균 3.5시간 내외)

​ ● 설치장소가 제한적이다.

    태양이 비추는 곳은 어디든 발전이 가능하지만아무곳에나 설치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설치할 수 있는 장소는 제한적이다인구밀도가 높고 건물이 밀집해 

    있는 곳이나 농산지에 대해서는 규제를 가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에 제약이 있다.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성   


태양전지 모듈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때 생산된 전기는 직류(DC)로써 소내전력으로 직접 사용하거나 발전사업용도로 판매를 할 수 도 있다판매를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수용가에서 공급받는 교류(AC)로의 변환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인버터를 이용해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교류 전기는 수용가에서 사용하거나 외부 그리드(계통)에 연계하여 판매를 하게 된다. 아래 그림은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용가와 그리드에 연계하는 과정을 그린 구성도이다.




1)  태양광 발전시스템 주요 구성 기기






구분 (장치명)

주  요  기  능

비    고

   태양전지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DC 전류를 생산하는 장치 (PV cell / module / array)이다.

  

   DC접속함

  여러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DC)전기를 모아 인버터로 전달하는 기기이다.

  통상 PV 판넬 array 측에 설치

   인버터(inverter)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직류전기(DC)를 교류전기(AC)로 바꾸는 기기이다.

  온그리드 시스템에서는 계통과 주파수, 위상을 동기시켜 연계한다. 

  오프그리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는    

  부하와 배터리 충전 기능도 포함

   축전지(battery)

  낮에 생산된 전기를 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를 저장하는 기기이다.

  Li-ion, LiFePO4, Pb 베터리

   PMS 시스템

  인버터, BMS, 데이터 로거 등을 통해 실시간 발전량, 배터리 상태, 전력 흐름 등에 대해 이상      유무를 파악하고 관리한다.

  소규모 시스템에서는 EMS, 모니터링 

  기능 포함

   계통연계

  인버터 → TR  계량기 → 전력망으로 연계되는 구성으로.., 

  잉여 전력은 그리드로 판매하고, 부족 전력은 그리드로부터 역수급 받는다.

  isolation TR,  양방향성 전력량계로 구성

   보조발전기 

  장마철이나 태풍 등의 영향으로 비교적 장기간 태양전지가 작동할 수 없는 저조도의 경우를      대비해 백업용으로 설치한다.

  통상의 비상발전기로 대체




2)  태양광발전 기본 구성 (계통연계식)




<  태양광 발전시스템 기본 구성 - 계통연계식 >




3)  태양광 발전시스템 구성 방식


   하이브리드 시스템

  계통연계형

  독립형 시스템

 * 풍력태양광 등 타 에너지원에 의한 발전방식을         결합한 형태의 발전시스템이다.

 * 상호 보완적인 운전을 할 수 있는 구성방식 이다. 


 * 그리드 연계가 가능한 지역의 주택빌딩 등                 대규모 발전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 잉여전력을 판매하거나 발전사업형 규모이면

   ESS 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등대중계소인공위성도서산간벽지 등에            적용하는 독립적인 구성방식이다. 

 * 기본적으로 ESS가 병설되어야 정상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태양광발전 표준설치용량 별 사업성 평가   



1)  표준 설치용량 별 사업성 평가 (본 도표는 설치지역 사업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표준 구분

 설치용량대 

(kW)

 주요 설치대상

 투자비용 

(억원)

 연간수익

(만원)

 수익 구조

 인허가 난이도

(1~5단계)

 사업 특징

 R.O.I

(회수기간)

   소형 자가형

 ~ 10kW

 개인, 농가, 

소형주택

,,,

 ,,,

 FIT 

(20년고정단가)

 1

(허가불필요)

 전기요금 절감 

및 소득보완

약 7년

  소형 사업형

 10~30kW

 농어민, 

소규모상가

,,,

 ,,,

 FIT or 

SMP+REC

 2

(신고제)

 소득형 투자, 

농촌보급형

6~7년

  중소형 발전소

 30~100kW

 자산가, 법인

상업시설

,,,

,,,

 SMP + REC

 3

(계통승인)

 부지 확보 중요, 

사업화 모델

6~6.5년

  중대형 발전소

 100~500kW

 발전사업자

 EPC 기업

,,,

 ,,,

 SMP + REC

 4

(계통승인)

 계통연계 필수, 

전문성 요구

5~6년

  대형(메가솔라)

 500kW 이상

 발전회사

 PPA 기업

,,,

 ,,,

 SMP + REC

PPA

 5

(주민동의)

 RPS, PF 필요, 

고위험 고수익

약 5년 내외


√  FIT (고정가격 계약): 20년간 고정된 단가로 전력회사(한전)와 전력계약

√  SMP (전력시장가격): 시장에서 결정되는 실시간 단가

√  REC (신재생에너지 인증서): 친환경 전력 생산 보상용 인증서로 매각 가능

√  PPA (전력구매계약): 민간기업 간 장기계약 (대규모 사업용)





      태양광발전시스템  비즈니스 모델                                      



   ◐  All-in one 10kWh PV시스템   (태양광발전 & 에너지저장시스템 풀키트)                         



본 시스템은 고효율 태양광 패널, 일체형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그리고 필수 액세서리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패키지 제품이다. 낮에는 태양광 패널이 햇빛을 받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동시에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하며 연결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야간이나 비오는 날 등 저조도 조건에서도 ESS에 저장된 전기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을 할수 있다.




▩ 시스템 구성




시스템 특징


√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 높은 전송률

√  에너지 절약, 친환경 청정에너지

√  첨단기술, 엄격한 품질관리 시스템

√  모듈화로 간편한 설치, 안전한 작동,  유지관리비 제로

√  무정전 전력공급

√  제로 에너지 주택 구현



기술사양


PV3K - EGS5K - 5E

Item

Model

Specifications

QTY

Unit

Main part

Solar Panel

ESM-575MH

Half-cut Mono cell

575W, 42.71Vmp, 13.47A

6

pcs

All-in-one

Energy Storage System

EGS-5K-5E Pro

5KW, 5KWH, 

LiFePO4 battery ESS

1

pcs

Mounting Bracket

ER-6-ESM575MH-1R6C

Q235 hot-dip galvanized steel/

Aluminum alloy Mounting bracket

1

set

Accessories

Solar Cable

PV Cable 4mm2

4mm²/1500V PV cable

1

kit

Connector

MC4

MC4 connector

1

kit

AC Cable

BVR 4mm²

4mm²/500V AC cable

1

kit

Terminal

VE4012

4mm² cable terminal

1

kit

PV MCB

NB1-63DC

32A 2P 6kA

1

kit

PV SPD

LFM40/PV600

600VDC 40kA 2P

1

kit

AC Input MCB

NXB-63

63A 2P 6kA

1

kit

AC Input SPD

LF M40/2

220VAC 40kA 2P

1

kit

AC Output MCB

NXB-63

63A 2P 6kA

1

kit

Distribution box

PZ30

12 circuit distribution box

1

kit




주요 구성품


 장  치  명

 규 격   및   사 양

 외     관

태양광 패널

고효율 패널

하프컷 셀 기술, 144셀 모노 타입

인증시험 통과 및 혹독한 환경 내구성 시험 통과

탁월한 기계적 부하에 대한 저항성

최대 출력 : 575W

크기 :  2279 x 1134 x 35 mm, 무게 : 28.5 kg

  


올인원

배터리시스템 

LiFePO4 

(내장형)



8000회 이상 충전 수명 보장

내장형 배터리 관리(BMS) 시스템

다양한 인버터와 호환

최대 10개 병렬연결 지원 (5.75 kW)

빠른 충전, 2~3시간 내 완전 충전

IEC62619, CE, RoHS, UN38.3 인증 배터리 모듈

LFP(Li-FePo4)는 사용 가능한 에너지의 100%를 제공하며, 배터리 완전방전 가능 


 

DC 케이블 및

MC4 컨넥터

단면적 : 4mm²,  6mm² (선택 사양)

정격전압 : 600VDC(UL) / 1000VDC(TUV)

정격전류: 55A, 70A

색상 : 검정색(표준), 빨간색(선택 사양)



  




   ◐  All-in one 15kWh PV시스템  (가정용 하이브리드 태양광발전 & ESS 풀키트)               



본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 올인원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그리고 관련 액세서리로 구성된다. 낮에는 태양광 패널이 햇빛을 받아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며, 야간이나 비오는 날 등 저조도 조건에서도 ESS에 저장된 전기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 시스템 구성


24시간 전력 공급 : 지속적인 에너지 백업을 위한 고효율 태양광 에너지저장시스템






▩ 시스템 특징



√  최적화된 태양광발전장치로 시설비 절감

√  듀얼 MPPT 적용, 태양광 효율 극대화로 최대 100%의 요금 절감

√  모듈식 설계로 설치시간 50% 단축

√  사용조건에 따라 24시간 연중무휴 전원 공급

√  내구성이 뛰어난 장수명 LiFePO4 배터리 채용 (6000회 이상 충전 보장) 

√  사용자 친화적인 LCD 화면

√  스마트 팬 제어 기능

√  완벽한 자체 보호 기능




▩ 기술사양


PV7K - EGH10K - 10E

Iterm

Model

Specifications

QTY

Unit

Main part

Solar Panel

ESM-575MH

Half-cut Mono cell 

575W, 42.71Vmp, 13.47A

12

pcs

All-in-one 

Energy Storage System

EHG10K-10E Pro

10KW, 10KWH, 230VAC, 50/60HZ 

Single Phase, LiFePO4 battery ESS

1

pcs

Mounting Bracket

ER-12-ESM575

MH-1R12C

Q235 hot-dip galvanized 

steel/Aluminum alloy Mounting bracket

1

set

Accessories

Solar Cable

PV Cable 4mm2

4mm²/1500V PV cable

1

kit

Connector

MC4

MC4 connector

1

kit

AC Cable

BVR 6mm²

6mm²/500V AC cable

1

kit

Terminal

VE6012

6mm² cable terminal

1

kit

PV MCB

NB1-63DC

32A 2P 6kA

2

kit

PV SPD

LFM40/PV600

600VDC 40kA 2P

2

kit

AC Input MCB

NXB-63

63A 3P 6kA

1

kit

AC Input SPD

LF M40/2

220VAC 40kA 3P

1

kit

AC Output MCB

NXB-63

63A 3P 6kA

1

kit

Distribution box

PZ30

20 circuit distribution box

1

kit





     Complete Kit 20kWh PV시스템 (하이브리드 태양광발전 & ESS 컴플릿 키트)      ​       



본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 올인원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그리고 관련 액세서리로 구성된다. 낮에는 태양광 패널이 햇빛을 받아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며, 야간이나 비오는 날 등 저조도 조건에서도 ESS에 저장된 전기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 시스템 구성






▩ 시스템 특징


√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 높은 전송률

√  친환경 청정에너지, 에너지 절약, 

√  첨단기술, 엄격한 품질관리 시스템

√  모듈화로 간편한 설치, 안전한 작동,  유지관리비 제로

√  제로 에너지 주택 구현

√  무정전 전력공급




▩ 기술사양


PV5K - EGS5K - 15E
Iterm Model Specifications QTY Unit
Main part

Solar Panel

ESM-575MH

Half-cut Mono cell

575W, 42.71Vmp, 13.47A

8 pcs

All-in-one

Energy Storage System

EGS5K-20E Pro

5KW, 15KWH

LiFePO4 battery ESS

1 pcs

Mounting Bracket

ER-8-ESM575MH-1R8C

Q235 hot-dip galvanized steel/

Aluminum alloy Mounting bracket

1 set
Accessories

Solar Cable

PV Cable 4mm2 4mm²/1500V PV cable 1 kit

Connector

MC4 MC4 connector 1 kit

AC Cable

BVR 4mm² 4mm²/500V AC cable 1 kit

Terminal

VE4012 4mm² cable terminal 1 kit

PV MCB

NB1-63DC 32A 2P 6kA 1 kit

PV SPD

LFM40/PV600 600VDC 40kA 2P 1 kit

AC Input MCB

NXB-63 63A 2P 6kA 1 kit

AC Input SPD

LF M40/2 220VAC 40kA 2P 1 kit

AC Output MCB

NXB-63 63A 2P 6kA 1 kit

Distribution box

PZ30 12 circuit distribution box 1 kit




▩ 주요 구성품


장  치  명

 규 격   및   사 양

 외     관

태양광 패널

고효율 패널

하프컷 셀 기술, 144셀 모노 타입

인증시험 통과 및 혹독한 환경 내구성 시험 통과

탁월한 기계적 부하에 대한 저항성

최대 출력 : 575W

크기 :  2279 x 1134 x 35 mm, 무게 : 28.5 kg

  


올인원

배터리시스템 

LiFePO4 

(내장형)



8000회 이상 충전 수명 보장

내장형 배터리 관리(BMS) 시스템

다양한 인버터와 호환

최대 10개 병렬연결 지원 (5.75 kW)

빠른 충전, 2~3시간 내 완전 충전

IEC62619, CE, RoHS, UN38.3 인증 배터리 모듈

LFP(Li-FePo4)는 사용 가능한 에너지의 100%를 제공하며, 배터리 완전방전 가능 

DC 케이블 및

MC4 컨넥터

단면적 : 4mm²,  6mm² (선택 사양)

정격전압 : 600VDC(UL) / 1000VDC(TUV)

정격전류: 55A, 70A

색상 : 검정색(표준), 빨간색(선택 사양)



  





     하이브리드 태양광발전 FR 시리즈 (3kW, 5kW 5.12kWh FR Series)                              



본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 태양광 인버터, 벽걸이형 Li-ion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그리고 관련 액세서리로 구성된다. 낮에는 태양광 패널이 햇빛을 받아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며, 야간이나 비오는 날 등 저조도 조건에서도 ESS에 저장된 전기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 시스템 구성







▩ 기술사양


Configuration table:

Model PV1K-ESH3K-5E PV3K-ESH5K-5E PV5K-ESH5K-5E PV5K-ESH5K-10E

575W Mono Solar Panel

2pcs 6pcs 8pcs 8pcs

Wall-mounted Lithium Battery

Solution

5.12kWh 5.12kWh 5.12kWh 10.24kWh

Solar Inverter

3kW 5kW 5kW 5kW

PV Cable 4mm2

1 roll of red cable (100m), 1 roll of black cable (100m)

AC cable 6mm²

1 roll of red cable (100m), 1 roll of blue cable (100m)

MC4 Connector

5 pair

Mounting System

Ground or Roof (Customized Optional)

Accessories

1kit (Including terminals, MCBs, cables)


Technical specification:

Model PV1K-ESH3K-5E PV3K-ESH5K-5E PV5K-ESH5K-5E PV5K-ESH5K-10E

System Specification

Rated AC Output Power

3000W 5000W 5000W 5000W

Surge AC Output Power

6000VA 10000VA 10000VA 10000VA

Battery Capacity Energy

5.12kWh 5.12kWh 5.12kWh 10.24kWh

Battery Type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Max. AC Charging Current

80A

Operating Temperature

Charge:0℃ to 50℃ / Discharge: -20℃ to 60℃

Storage Temperature

-30℃ to 70℃

Remote Monitoring

WiFi & APP

Relative Humidity

0~95%(no condensation)

Operating Altitude

2000m

Warranty

Inverter 2 Years, Battery 5 Years

PV String Input Specification

Max. PV Input Power

3000W 5000W 5000W 5000W

Max. PV Input Voltage

500VDC

MPPT Voltage Range

120 to 430VDC

Max. PV Short Circuit Current

22A

MPPT tracker

1

Strings of per MPPT tracker

1

Inverter Specification

Rated AC Output Power

3000W 5000W 5000W 5000W

Surge AC Output Power

6000VA 10000VA 10000VA 10000VA

Battery Voltage Range

40 to 60VDC

Rated AC Output Voltage

230VAC

AC Output Frequency

50 / 60Hz

Power Factor

1.0

AC Output Wave Form

Pure Sine Wave

Transfer Time

<15ms

Output THDi

<3%

Max. Conversion Efficiency

≥97.6%

Battery Specification

Battery Model

EP-48100W EP-48100W EP-48100W EP-48200W

Battery Voltage

51.2V 51.2V 51.2V 51.2V

Battery Capacity

100Ah 100Ah 100Ah 100Ah

Battery Quantity

1 1 1                                               2

Total Energy Capacity

5.12kWh 5.12kWh 5.12kWh 10.24kWh

Cycle Life

>6000 cycles@80% DOD



▩ 주요 구성품


 장  치  명

 규 격   및  사 양

 외      관

태양광 패널

182mm*182mm 크기의 고효율 단결정 실리콘 셀 사용

생산시, 이 모듈은 공간 활용도와 효율면에서 탁월한 성능 발휘

효율성 ≥ 22.25%

모듈의 +5W 허용 오차, 모듈 전력 ≥ 575W 보장

  

하이브리드 인버터

4.3인치 터치 LCD 디스플레이 화면
1.0 역률 출력, 순수 사인파 전압
<15ms 전송 시간, 무정전 전원 공급
지능형 BMS 통신 기능
PV/유틸리티/하이브리드 80A 고속 충전
리튬 배터리 활성화를 위한 PV/유틸리티 지원
다양한 배터리 호환: 리튬/납축전지/겔/밀봉형/수평형 배터리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Wi-Fi 모듈
최대 9대 병렬 연결 가능
단상/분상/3상 병렬 연결 지원


리튬이온 배터리

(ESS)

≥6000 사이클 @80% DOD @ 25℃;

>15년 설계 수명;

고품질 A등급 각형 셀과 고급 스마트 BMS를 채택하여 배터리의 긴 수명을 보장.

배터리 용량은 10kWh로 확장 및 설치가 간편하며, 최대 60kWh까지 병렬 연결 가능.

배터리 시스템은 전압, 전류 및 온도 보호 기능과 배터리 시스템과 호스트 간의 원활한 

통신 기능을 갖춘 고성능 배터리 관리 모듈인 스마트 BMS 채택.

벽면 장착형 디자인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디자인이 아름다우며 공간 절약 효과

  

케이블 및 악세서리

 DC 고전압 회로 차단기를 채택하여 DC 내전압을 DC500V, DC1000V로 선택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 보장

TUV 인증서 획득.

  

패널설치 브라켓

 장착 브래킷 유형은 설치 환경에 따라 조절 가능

브래킷 재질은 부식 방지 기능이 있는 Q235 용융 아연 도금 강철로 제작

지붕 및 지면에 적합

 










under construction !












under construction !













under construction !












under construction !









  



***********************************************************************************************************************************************************************************

()선진하이테크 / Seonjinhitech Co., Ltd.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발안공단로 413 / 대표백용호

Tel: +82-31-8059-1387 / Fax: +82-31-8059-1397

E-Mail: sjhtech@seonjinhitech.co.kr

Website: http://seonjinhitech.co.kr

 

선진하이텍 Seonjin Hitech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발안공단로 4길13 | 대표 : 백용호
Tel : +82-31-8059-1387 | Fax : +82-31-8059-1397 | E-Mail : sjhtech@naver.com, sjhtech@seonjinhitech.co.k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