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기세트
발전기 세트 (Generator Sets)
General Description
◐ 디젤 발전기 세트 ?
어려운 무전지역, 산업시설, 건설 현장 등에서 사용된다.
◎ 구성 요소
1) 디젤 엔진 : 내연기관으로 디젤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만듭니다.효율적이고 내구성이 강함.
2) 발전기 (제너레이터) : 엔진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3) 운전제어 장치 (Control Panel) : 시동, 정지, 모니터링(전압, 전류, 주파수 등) 담당, 자동 전환(Auto Transfer Switch, ATS) 기능 포함
4) 연료 시스템 : 연료 탱크, 공급 라인 등 포함. 디젤연료를 엔진에 공급함.
5) 냉각 시스템 : 냉각수 혹은 라디에이터를 사용하여 엔진 과열 방지.
6) 배기 시스템 : 연소 후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
7) 윤활 시스템 : 엔진 내부의 마찰을 줄이고 수명을 늘림.
◎ 주 용도
1) 비상 전원용 : 무정전이 필수요건인 병원, 데이터센터, 공항 등
2) 주전원 공급 : 전력이 부족하거나 정전이 잦은 지역, 도서 산간 벽지 등 발전소 전력 미공급 지역
3) 임시 전원용 : 콘서트, 야외 행사, 산업건설 현장
◎ 장점
1) 연료 경제성 : 디젤유는 휘발유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저가 임
2) 내구성 우수 : 연속 장시간 운용 가능
3) 운영비 저렴 : 특히 장시간 운전시 시간단가 유리
◎ 단점
1) 진동소음 : 방진 방음 대책 필요
2) 배출가스 : 환경 규제 대상 (SOx, NOx 산화물 조치 필요)
3) 초기비용 : 일반전력 수전 대비 비교적 높은 편임
◐ 디젤발전기 기본구조



|
![]() |
![]() |
![]() |
![]() |
![]() |
![]() |
![]() |
![]() |
![]() |
![]() |
HD-Hyundai |
Cummins |
Bauduin |
MTU |
Scania |
Perkins |
Mitsubish |
Caterpilla |
Volvo |
MAN |
WeiChai |
항 목 |
주 요 특 장 점 |
컴팩트 디자인 |
통합형 디자인, 운영이 간편하고 편리한 구조로 설계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많은 기능을 구현 |
운전(조작)반 |
탑재형을 표준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별치형 설치도 가능 |
터미널 보드 |
단자대는 기본적으로 발전기 죄측 또는 우측 부에 위치하며, 설치 조건에 따라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 후면부는 일체형 구조로 설계되어 편리하게 개조 및 유지보수 가능 |
연료탱크 |
연료탱크는 베드 프레임에 배치하여 운용이 편리하며 공간도 최소화 됨, 연료탱크에는 연료 게이지와 공급/반환 파이프 라인이 함께 설치되어 운용 및 정비가 용이 |
베드 프레임 |
베드 프레임은 내구성이 큰 강재로 제작되며, 필요시 지지대도 장착할 수 있는 구조 |
주회로 차단기 |
발전기 출력단에는 주회로 차단기가 장착되 있어 부하선 설치 및 조작이 편리 |
모델 선정 |
선택 가능한 전력의 범위는 소형(10kW)에서부터 대형(3500kW)까지 이며, 전압 범위는 저압에서 중·고압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에서 선정이 가능 |
외함 구조 |
설치요건에 따라 개방형, 컨테이너형, 전용 구조로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형도 가능 |
기계적 구조 |
엔진과 발전기는 직접체결되는 단순 구조로 동력 전달력이 뛰어나며, 회전부는 윤활이 필요하지 않은 반영구 단일 베어링 구조 |
안전 및 보호 |
결함이 감지되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엔진이 자동으로 정지되며 관련 메시지 표시 |


안전수칙 |
발전기 사용자는 우발적인 사고 위험 및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이래와 같은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매우 위험하므로 접촉시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전기를 운전조작하거나 정비를 할 때에는 매우 신중하게 조치해야 한다. |
(1) 운전 전 체크사항 |
시동 전 체크리스트 사항을 필히 점검하고, 미비 사항은 반드시 조치하여야 한다. |
1) 급기, 환기 및 연소 가스 배기 시설 상태를 점검한다. 2) 엔진 본체 및 접지 계통의 접지 상태를 점검한다. 3) 연료, 윤활유 상태 및 계통 누유 여부를 체크한다. 4) 냉각수 상태 및 계통 누수 여부를 체크한다. 5) 엔진, 동체 및 방열기 주변 장애물 유무를 점검한다. 6) 운전반 파라미터 체크 및 스위치 작동 상태를 점검한다 |
(2) 운전 중 유의사항 |
운전중 특이한 소음이나 의심스러운 현상이 발견되면 즉시 운전을 정지 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조치를 취한다. |
1) 운전 중에는 절대 연료나 냉각수를 보충하면 안된다. 2) 운전 중 회전부에 접근은 절대로 피하여야 한다. 3) 운전 중 라디에이터 캡을 열 경우 심한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4) 운전 중에는 엔진은 물론 배기 파이프나 소음기 부분도 가열된 상태에 있음으로 접촉을 피해야 한다. |
(3) 운전 후 조치사항 |
운전이 종료되면 주회로 차단기를 먼저 개방하고 엔진을 정지시켜야 한다. |
1) 엔진은 정지된 직후에도 엔진 부위 및 배기 계통은 가열된 상태에 있으므로 접촉을 피해야 한다. 2) 엔진이 정지되면 위험 요인 잔존 여부를 재확인 한다. 3) 수리용 장비는 해당 부품에 맞는 규격품을 사용한다. 4) 엔진 주변에는 세척제 등의 인화성 물질을 두면 안된다. 5) 배터리 액위점검은 주간 단위로 실시한다. |
경 보 |
경 고 |
발전기 운전 중에는 회전체, 격한 소음, 과열 냉각수, 유해 가스, 배터리 폭발성, 고전압원 등 위험요소가 상존함으로 운전방법 및 절차를 올바르게 이행하지 않으면 다치거나 장비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은 항시 신중히 해야 한다. |
경 계 |
운전 중 회전 상태가 불안정 하거나 특이한 냄새가 나는 등 평소와 다른 현상이 보이면 발전기가 고장 또는 파손이 될 수 있으므로 항시 경계하여야 한다. |
|
유 의 |
발전기를 안정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발전기를 항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동품 확보 및 정기적인 안전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
◐ 발전기 운전 절차
◎ 수동운전 절차
시 동 |
1) 탑재형 : 키를 시동 위치로 돌려 엔진을 시동시킨 후 다시 운전 위치로 한다. 2) 별치형 : 시동 스위치를 눌러 엔진을 기동 시킨다. ※ 시동모터가 돌아간 이후 발전기가 운전되는 소리가 날 때까지 시동 스위치를 누른다. 3) 시동이 안되면 잠시 후 시동전동기가 완전히 멈춘 후에 다시 실시한다. ※ 주의사항 : 시동모터는 10초 이상 동작시키지 말 것. 그 이상 계속 누르게 되면 시동모터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
운 전 |
1) 시동 후 오일 압력이 형성되는지 오일 압력계를 주시하고 오일 압력이 형성되지 않으면 엔진을 즉시 정지하고 원인 조치 후 재시동한다. 2) 운전 중 장비의 이상유무(각종 누설 및 이상 소음 등..)를 확인한다. 3) 전압계와 주파수계를 확인하여 정격 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한다. 4) 각 계기를 확인한 다음 이상이 없으면, 부하는 시동전류가 큰 부하부터 투입한다. 5) 별치형 운전반이 있는 경우에는 별치형 운전반에서 시동, 정지를 한다.
|
정 지 |
1) 정지시는 필히 부하를 먼저 개방(차단)하고, 엔진이 충분히 냉각된 상태에서 정지한다. 2) 별치형의 경우에는 정지 버튼 스위치만 누르면 된다. ※ 주의 : 별치형으로 운전할 때는 필히 조작반의 키 스위치는 off (정지)위치에 놓는다. |
◎ 자동운전 절차
시 동 |
1) ‘수동’ / ’자동’ 선택 스위치를 ‘자동’ 운전 위치에 놓는다. 2) 버튼 식의 경우는 ‘자동’ 선택 버튼을 누르면 된다.
|
운 전 |
1) 순시정전과 구별하여 정전으로 확인되면 기관이 자동으로 시동된다. 2) 그리드 정전시 자동으로 엔진이 기동하여 정격회전수에 도달, 정격전압을 확립한다. 3) 정격전압이 확립되면 부하차단기가 가 자동으로 투입된다. 4) 발전기 비상전원이 그리드로 공급된다.
|
정 지 |
1) 발전 중 그리드 전원이 복원되면 복귀 여부를 확인한 후 ATS를 통해 보정 시간 내에 발전기 전원에서 원래의 그리드 전원으로 자동 절체된다. 2) 전원 절체 후 엔진은 냉각을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무부하 운전 후 정지한다. 3) 자동운전은 그리드 전원 정전신호에 의하여 시동-투입-차단-정지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다. |
계 통 |
비 상 발 전 기 세 트 단 위 장 치 점 검 항 목 |
윤 활 계 통 |
누설여부, 오일필터, 오일수준, 유압조속기 오일수준, 바이패스필터, 엔진오일, 유압조속기
|
냉 각 계 통 |
누설여부, 라디에이터 공기저항, 냉각수히터 작동상태, 호수 및 배관상태, 냉각수 수준, 부동액, 벨트상태, 팬허브, 구동풀리, 냉각수펌프, 열교환기 플러그, 히터장치, 냉각수 계통, 냉각팬. 방열기 상태 |
흡 기 계 통 |
누설여부, 필터부 저항, 배관부 체결상태, 크랭크케이스 브리더, 필터부 세척 및 교환 |
연 료 계 통 |
누설여부, 연료수준, 조속기 링크부, 연료배관 연결상태, 연료공급 펌프, 연료탱크 침전물 |
배 기 계 통 |
누설여부, 배기저항, 응축수 트랩, 배기 파이프, 과급기 캡, 소음기 |
전 장 품 |
배터리 충전계통, 발전기 전해액/비중, 운전제어 안전/경보 장치, 계자 회로 |
주 발 전 기 |
이상소음/진동, 베이스 마운팅 상태, 회전부(엔진) 체결상태, |
차 단 기 |
입출단자 체결상태(저항요인), 오일 상태, 배선상태, 발전기 히터작동 상태, 베어링/감김저항 상태 |
조 작 장 치 |
시동(수동/자동) 스위치, 데이터 디스플레이, 경보 등, |
운 전 절 차 |
무부하시험, 부하시험(로드뱅크 연결), 서비스 공구/지그 류 |
2) 발전기 부하특성 시험 항목
시 험 명 |
시 험 내 용 |
정상상태 무부하 포화곡선 |
무부하 상태에서 단자전압을 변화시키며 추종성을 시험한다. |
전압(V) 곡선 시험 |
출력 25%, 50%, 75%, 100%에서 각각에 대해 무효전력을 변화시켜 그때의 계자전류(If)와 단자전압(V)을 측정해 리엑턴스 값 Xd, Xq를 얻는다 |
무효전력 한계치 시험 |
관성상수(H)를 확인하는 시험으로, 부하차단시험을 할 때 회전자의 무게나 특성에 따라 단위시간당 변하는 주파수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 기울기를 통해 관성 상수(H)를 확인할 수 있다. 시험방법은 정격출력 (100%), 정격 PF(80%)에서 15분 정도 운전하면서 시험한다. |
부하차단 시험 |
과도 및 차과도 리엑턴스 X’d, X’q, X”d, X”q를 얻는 시험으로 MVR 모드에서 2회, AVR 모드에서 1회 정도 시험한다. |
무무하 AVR 스텝시험 |
여자기 스텝시험(2% 단위)을 통해 발전기 단자전압(V)과 계자전류(If)를 측정, 여자기 파라미터 결정 및 발전기 파라미터들을 재검증 할 수 있다 |
PSS(전력안정화) 스텝 시험 |
출력 100%, 무효전력 0%로 고정하고 PSS를 on/off 한 상태에서 AVR에 2% 스텝 신호를 인가하며 전력 안정화에 대한 응답과 거동상태를 시험한다. |
AC 발전기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 (Rotating Excitation type Synchronous Generator)
Alternator
㈜선진하이테크 발전기 동체는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를 채택하고 있다. 고객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고품질, 고 신뢰성 및 내구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완벽한 디자인, 무결성 부품 소재를 바탕으로 무결함 재품을 제조 생산하며, 납품 후 24개월까지 충분한 보증기간과 A/S를 보장합니다.
◐ LV 발전기 동체 (Alternator) 선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
![]() |
![]() |
![]() |
![]() |
![]() |
![]() |
![]() |
![]() |
![]() |
HD-Hyundai |
Cummins |
Bauduin |
MTU |
Scania |
Perkins |
Mitsubish |
Caterpilla |
Volvo |
MAN |
WeiChai |










|
![]() |
![]() |
![]() |
![]() |
![]() |
![]() |
![]() |
![]() |
![]() |
![]() |
HD-Hyundai |
Cummins |
Bauduin |
MTU |
Scania |
Perkins |
Mitsubish |
Caterpilla |
Volvo |
MAN |
WeiChai |

under construction !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발안공단로 4길13 / 대표: 백용호
Tel: +82-31-8059-1387 / Fax: +82-31-8059-1397
E-Mail: sjhtech@seonjinhitech.co.kr
Website: http://seonjinhitech.co.kr